
평택대학교는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비정년트랙 전임교원 제도를 폐지했다고 27일 밝혔다.
급격한 학령인구 감소로 많은 대학들이 비정년트랙 교원 확대를 통해 비용절감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평택대의 이번 결정은 파격적이고 혁신적이란 평가다.
평택대는 지난 19일 교무위원회에서 '교원인사규정' 제3조(전임교원의 구분)의 '비정년트랙 교원' 조항 삭제를 의결한데 이어 26일 학교법인 피어선기념학원이 제224회 이사회를 열고 '비정년트랙 전임교원 정년트랙 전환 건'을 심의 의결해 비정년트랙 전임교원 제도 폐지와 전원 정년트랙 전환을 최종 확정했다.
평택대의 이번 조치는 비정년트랙 제도가 국내 대학교 도입된 2003년 이후 국내 대학으로서는 처음이다.
당초 특수 학문에 대한 교원 확보와 현장성 강화란 목적으로 일정 기간을 필요로하는 분야에 대학 학문을 개방하자란 취지로 도입된 비정년트랙 제도는 교육부 대학평가에서 '전임교원확보율'에 비정년트랙 전임교원을 인정하면서 도입 취지와 달리 대학에서 전임교원 확보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악용돼 왔다. 특히 비정년트랙 전임교원은 일반적인 전임교원과 달리 임용·승진·임금·근무환경 등에서 차별적 대우를 받아 대학 내 '비정규직 전임교원'이란 구조적 문제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돼 왔다.
평택대는 이에 따라 현재의 비정년트랙 전임교원 22명 전원을 오는 9월1일부터 정년트랙 전임교원으로 전환해 임용한다.
평택대의 이 같은 결정은 지난해 말 정이사 체제로 전환된 후 새로운 법인과 신임 총장 체제에서 대학혁신의 핵심과제 중 하나로 이뤄진 것이다.
급격한 학령인구 감소로 많은 대학들이 비정년트랙 교원 확대를 통해 비용절감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평택대의 이번 결정은 파격적이고 혁신적이란 평가다.
평택대는 지난 19일 교무위원회에서 '교원인사규정' 제3조(전임교원의 구분)의 '비정년트랙 교원' 조항 삭제를 의결한데 이어 26일 학교법인 피어선기념학원이 제224회 이사회를 열고 '비정년트랙 전임교원 정년트랙 전환 건'을 심의 의결해 비정년트랙 전임교원 제도 폐지와 전원 정년트랙 전환을 최종 확정했다.
평택대의 이번 조치는 비정년트랙 제도가 국내 대학교 도입된 2003년 이후 국내 대학으로서는 처음이다.
당초 특수 학문에 대한 교원 확보와 현장성 강화란 목적으로 일정 기간을 필요로하는 분야에 대학 학문을 개방하자란 취지로 도입된 비정년트랙 제도는 교육부 대학평가에서 '전임교원확보율'에 비정년트랙 전임교원을 인정하면서 도입 취지와 달리 대학에서 전임교원 확보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악용돼 왔다. 특히 비정년트랙 전임교원은 일반적인 전임교원과 달리 임용·승진·임금·근무환경 등에서 차별적 대우를 받아 대학 내 '비정규직 전임교원'이란 구조적 문제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돼 왔다.
평택대는 이에 따라 현재의 비정년트랙 전임교원 22명 전원을 오는 9월1일부터 정년트랙 전임교원으로 전환해 임용한다.
평택대의 이 같은 결정은 지난해 말 정이사 체제로 전환된 후 새로운 법인과 신임 총장 체제에서 대학혁신의 핵심과제 중 하나로 이뤄진 것이다.
비정년트랙 제도, 전임교원 확보율 높이기 위해 악용돼
비정년트랙 전임교원은 임용·승진·임금·근무환경서 차별
이동현 총장은 "지난 2년 동안 교육부의 사학혁신지원사업을 통해 대학의 민주성 제고와 혁신 경영을 위한 제도적 정비를 해온데 이어 이번에 비정년트랙 교원제대를 폐지, 대학혁신의 방향을 분명히 하고 지속적으로 추진할 동력을 확보했다"며 "앞으로도 우리 대학은 고용 안정과 처우 개선 등을 통해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계안 학교법인 피어선기념학원 이사장도 "법인과 대학이 힘을 합쳐 다양한 혁신과제를 하나하나 풀어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대학의 혁신적인 제도 개선과 교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협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평택대는 지난 2년 동안 교육부의 사학혁신지원사업을 수행하면서 인사·회계·행정·소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작업을 해왔다. 특히 지난 1월에는 사학비리를 저지른 자와 가족에 대한 이사장 선임 제한, 이사장 중임 제한, 이사회 구성 시 성비 고려 등을 정관에 반영하는 등 대학경영의 민주적 거버넌스를 확립하기 위한 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