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일 파주시장 주민소환운동본부(이하 주민소환본부)는 "파주시가 행정력을 동원해 주민소환운동 방해공작을 펼치고 있다"며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주민소환본부는 11일 성명을 내고 "파주시는 지난달 말과 이달 초에 걸쳐 각 읍·면·동 주민자치회 및 이장협의회 등을 대상으로 '주민소환 서명요청 활동 제한(대상자) 안내'란 제목의 공문을 수차례 보낸 바 있다"면서 "파주시가 행정권력을 동원해 주민소환법 및 지방자치법 취지에 어긋나게 방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주민소환운동본부는 시가 공문에서 ▲서명요청활동 제한규정만을 부각할 뿐 주민소환의 기본개념 및 청구취지 등을 안내하지 않은 점 ▲서명요청활동 제한 대상자라도 서명 자체는 가능함에도 이를 누락한 점 등을 행정권력을 동원한 방해공작으로 제시했다.
주민소환본부는 특히 "주민소환의 대상은 오로지 김경일 시장 개인일 뿐이기에 파주시 행정조직이 주민소환 과정에 영향을 끼치려는 어떠한 시도도 단호히 배격돼야 한다"며 "파주시 행정조직이 주민소환 과정에 개입하고 나선다면 시장의 사조직에 불과하다는 것을 자인하는 꼴"이라고 강조했다.
주민소환본부는 또 "'황제수영'으로 대표되는 김경일 시장의 무능과 부도덕을 시민의 이름으로 심판하기 위해 대장정에 나섰다"면서 "파주시 공직자들은 현재 이뤄지고 있는 주민소환 서명 작업에 대해 철저히 중립을 지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민소환운동본부 김형돈 본부장은 "파주시 행정조직에 대한 반대운동이 아니라 김경일 시장 개인의 무능과 부도덕을 시민의 이름으로 심판하기 위한 것인 만큼 행정조직이 주민소환운동에 영향을 끼치려는 어떠한 시도도 묵과 할 수 없다"면서 "김 시장은 방해공작을 당장 중단하고 어떤 형태로든 행정조직을 동원하지 않겠다고 약속할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파주시는 이에 대해 선관위 요청에 따라 '주민소환청구 관련 서명요청활동 제한 대상자 및 관련 법령 안내' 공문을 시행했을 뿐이라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파주시 선거관리위원회 요청에 따라 지난 7월 27일 '주민소환투표청구 서명요청활동 제한 안내' 공문을 본청과 사업소, 보건지소에 시행했고, 행정력을 동원해 주민소환운동을 방해한 사실이 없다"고 해명했다.
김경일 파주시장 주민소환운동본부는 앞서 "김 시장이 '황제수영' 사건으로 준법 정신 및 도덕성에 심각한 문제점을 보여줬고, 측근 시민 6인을 동행한 유럽 연수, 측근 업체 일감 몰아주기, 부적절한 업무추진비 사용 및 인사권 남용, 파주시청 신청사 이전·용주골 폐쇄·금성의 집 사태·동물화장장 문제 등을 파주시의회 및 시민과 대화와 타협 없이 추진하고 있다"며 파주시 유권자 7만명 서명을 목표로 지난 9일부터 본격적인 서명운동에 돌입했다.(8월11일자 7면 보도='황제수영 파주시장' 주민소환 본격화)
시 관계자는 "파주시 선거관리위원회 요청에 따라 지난 7월 27일 '주민소환투표청구 서명요청활동 제한 안내' 공문을 본청과 사업소, 보건지소에 시행했고, 행정력을 동원해 주민소환운동을 방해한 사실이 없다"고 해명했다.
김경일 파주시장 주민소환운동본부는 앞서 "김 시장이 '황제수영' 사건으로 준법 정신 및 도덕성에 심각한 문제점을 보여줬고, 측근 시민 6인을 동행한 유럽 연수, 측근 업체 일감 몰아주기, 부적절한 업무추진비 사용 및 인사권 남용, 파주시청 신청사 이전·용주골 폐쇄·금성의 집 사태·동물화장장 문제 등을 파주시의회 및 시민과 대화와 타협 없이 추진하고 있다"며 파주시 유권자 7만명 서명을 목표로 지난 9일부터 본격적인 서명운동에 돌입했다.(8월11일자 7면 보도='황제수영 파주시장' 주민소환 본격화)
파주/이종태기자 dolsae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