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인천 5호선연장 관련 (4)
인천 검단신도시 102역사 예정지 전경. 김포시민들은 102역사만 들르고 김포 경계로 넘어오는 김포한강선 원안으로 결정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2023.8.21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의 서울지하철 5호선 연장사업 노선 확정이 임박한 가운데 김포와 인천 서구 양측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최근 인천 서구와 구의회가 인천시안 반영을 위한 초당적 협력을 결의하자 김포시민들은 애초 국토부가 발표했던 김포한강선 원안을 변경할 경우 '제2의 양평고속도로'가 될 것이라며 집단 투쟁도 불사하겠다는 뜻을 비치고 있다.

대광위 5호선 노선 확정 임박...긴장 고조
김포시민들 '3개월 끌 이유 없었다' 비판
콤팩트시티 선교통 후개발, 합의 무의미
김검시대 “검단 광역교통대책 따로 있어”

지난 8일 강희업 대광위원장은 "평가단을 구성해 인천시와 김포시 노선안 중 하나를 이달 안에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김포시는 검단에 1~1.5곳(인천·김포 경계)만 들르는 노선, 인천시는 'U'자 형태로 검단 3곳에 들르는 노선으로 대립해왔다.

대광위의 직권중재 예고에도 김포시민들은 올해 5월 김포시와 인천 서구가 대광위에 노선을 맡기기로 일찍이 협약했음에도 지자체 협의를 명목으로 3개월간이나 시간을 끈 데 대해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김포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인천시 측은 김포한강선이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추가검토사업으로 반영될 당시의 '지자체 협의' 문구를 내세워 자신들과 반드시 합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지난해 말 국토부가 4만6천세대 김포 콤팩트시티 조성을 발표하며 '선교통 후개발' 원칙을 공식화해 지자체 합의에 매달릴 이유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골드라인에서도 대형 참사가 벌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으로 정부가 5호선 연장사업에 팔을 걷은 것이기 때문에 지금은 골드라인 문제 해결이 5호선 연장의 주목적이 됐다"고 역설했다.

지난 2021년 제4차 철도망계획에 김포한강선이 누락된 채 발표됐을 때 수개월 간 강경투쟁을 벌인 김포검단시민연대는 '김포한강선 원안'이 훼손돼 사업이 지연될 시 다시 집단행동에 나서겠다고 경고했다.

김포한강선 원안은 2018년 서울시의 '방화차량기지 이전 및 부지활용방안' 용역에서 도출한 노선으로, 이듬해 대광위는 이를 포함해 '광역교통 2030'을 발표했다. 현 김포시 노선안의 토대인 해당 노선에는 검단 계획인구까지 반영돼 있다.

서형배 김포검단시민연대 위원장은 "검단은 인천1호선 중량전철이 광역교통대책으로 추진된다. 이런 상황에서 5호선 노선까지 인천의 무리한 요구가 반영된다면 김포한강선 원안을 국토부 스스로 뒤집는 격이고, 양평고속도로 사태처럼 정부정책 불신과 사업 지연을 불러올 것"이라며 "부당한 결과가 나온다면 강력히 투쟁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오세훈 연이은 '골드라인 해결 행보'… 5호선 노선결정 영향받나)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