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82101000826800042151.jpg
광교 송전철탑 이설 예상 위치도. /용인시 제공

이상일 용인시장이 광교 송전철탑의 이설 문제와 관련해 21일 김홍일 국민권익위원장에게 서한을 보내 권익위 차원의 중재와 조정을 요청하고 나섰다.

용인시 수지구 성복동 주민들의 반대에도 이설 추진이 강행되자 시장이 해법 마련을 위해 직접 나선 것이다.

성복동 주민 '조망권 침해' 반발
市, 주민 이해 얻은뒤 진행 주장
GH 내달 공사 계획에 해법 요청


용인과 수원의 경계인 광교산 자락에 걸쳐 있는 광교 송전철탑은 지난 2010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에 위치한 해모로아파트 주민들의 민원 제기로 이설 검토가 논의되기 시작했고. 이듬해 12월 광교택지개발지구 공동사업시행자(경기도·용인시·수원시·경기주택도시공사) 회의를 거쳐 이설 추진이 결정됐다. 기존 해모로아파트 인근에 위치한 3개의 철탑을 철거하고, 대신 용서고속도로 길마재터널 건너편에 2개의 철탑을 새로 설치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두고 용인 성복동 주민들이 조망권 침해를 이유로 강하게 반발해 사업 추진에 제동이 걸렸으나, 얼마 전 공동사업시행자인 GH가 다음 달 철탑 이설 공사에 착수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면서 다시 문제가 불거졌다.

시는 앞서 이설이 필요할 경우 철탑이 성복동에 위치한 아파트의 가시권에 들지 않는 곳으로 하고 시민들의 충분한 이해를 얻은 뒤에 진행해 달라는 입장을 경기도와 수원시, GH 등에 전달해 왔다. 권익위도 지난 2021년 고충 민원 심의를 통해 용인시민의 민원 해소 방안을 찾은 뒤 철탑 이설을 진행하도록 권고한 바 있다.

그러나 수원시가 지난 6월 GH에서 제출한 철탑 이전 관련 개발행위허가 요청을 승인하면서 철탑 이설은 사실상 가시권에 접어들게 됐다. 이에 용인시는 지난 2일 GH에 공문을 보내 용인시민의 의견을 무시한 채 이설 공사를 강행하는 것에 대한 반대 입장을 전했고, 이날 이상일 시장까지 가세하기에 이르렀다.

이 시장은 "권익위에서 민원 해결 방안을 강구한 이후에 진행하라는 의견을 냈음에도 GH는 이를 무시하고 공사를 강행하려 하고 있다"며 "수원 광교지구 주민들의 민원 해결에만 치우쳐 택지 조성 이전부터 살아 온 용인시민들의 목소리를 묵살하는 GH의 태도에 주민들은 강한 분노를 표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안 마련이 없는 GH의 일방적 사업 추진에 결코 동의할 수 없다"며 "권익위의 적극적인 중재로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원만한 해법이 마련되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용인시는 이달 중 예정된 광교지구 공동사업시행자 회의에서 두 지역 간 갈등 없는 사업 추진을 안건으로 상정, GH에 거듭 대안 마련을 촉구할 방침이다.

용인/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