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3기 신도시 광명·시흥 공공택지지구의 지장물 조사 등 연내 보상절차 착수가 물 건너 가면서 원주민들의 반발(8월8일자 10면 보도=광명·시흥 3기신도시, 지장물 조사 연내 불가능)하고 있는 가운데 광명시와 시흥시를 비롯해 지역 정치인들도 조속한 보상을 촉구하는 등 연내 보상 착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박승원, 임병택 시장과 공동대응
양기대 의원, 기재부에 대책 촉구
28일 광명총주민대책위원회(이하대책위)에 따르면 박승원 광명시장은 지난 17일 학온동행정복지센터에서 대책위와 간담회를 갖고 LH의 보상지연으로 은행 부채와 이자 부담에 고통 받는 원주민들의 호소를 청취했다.

이날 박 시장은 국토교통부와 LH에 조속한 보상을 강력히 요구하는 한편, 내달 5일 광명시청에서 임병택 시흥시장과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공동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박 시장은 "지구지정 당시 국토부 차관이 2023년 선분양, 2024년 보상한다고 했는데 2026년 보상마저도 확실하지 않다"며 "보연 지연에 따른 모든 책임은 정부가 져야 하고 이를 위해 국토부장관 면담을 요구하는 등 시흥시와 공동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양기대 국회의원(광명을)은 지난 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추경호 부총리 및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광명·시흥지구의 보상지연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촉구했다.
양 의원은 "신속한 토지 보상이 추진돼야 하고, 사업지연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해제 등 특단의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태진 국민의힘 광명갑 당협위원장도 23일 LH광 명시흥사업본부 앞에서 무기한 천막농성 중인 대책위를 찾아 '조속한 3기 신도시 토지 보상 시행'을 촉구하며 집회를 가졌다.

광명시흥지구가 지역구인 유종상(광명3) 경기도의원과 이지석(다선거구) 광명시의원도 대책위의 집회에 동참하며 힘을 보탰다.
윤승모 대책위원장은 "3기 신도시 6곳 중 5곳은 토지보상이 완료됐거나 진행되고 있지만 광명시흥지구는 아직 계획조차 없다"며 "LH가 재산권을 제한한 채 보상을 지연함으로써 원주민들의 이자 부담만 연간 1천100억원에 달하면서 고통 속에 살고 있다"고 말했다.
광명/문성호기자 moon2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