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 택시업계의 반발로 난항을 겪고 있던 수요응답형 버스(DRT)인 '똑버스'의 농촌지역 확대 운영문제(8월28일자 9면 보도=파주 '농촌형 똑버스' 확대 추진 막아선 택시업계)가 해결됐다.

파주시와 택시업계가 사흘 동안의 마라톤 협상을 벌여 '똑버스의 일부 농촌지역 운행 자제 및 추가 확장 시 협의' 등에 최종 합의했기 때문이다.

市-택시업계, 운행확대 등 합의
DRT 확장·증차시 소통 약속

30일 시와 택시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에 따르면 시와 비대위는 28~30일 협상을 갖고 '비대위의 DRT 똑버스 지역 변경 요구'에 대해 시는 "동(洞·도심) 지역으로의 변경은 규제 샌드박스 통과 등 상당기간의 절차와 시일이 소요되는 까닭에 광탄·탄현까지는 정상 운영하되 월롱지역에 대하여는 상지석동, 야당동, 신촌동, 송촌동 등 지역으로의 변경을 적극 검토해 반영하겠다"고 답변했다.

시는 또 '똑버스 승하차 지점을 버스승강장만 활용해 달라'는 비대위 요청에 대해서는 "똑버스 운행 개선을 통해 똑버스의 승하차 지점은 버스승강장을 활용토록 조정하겠지만, 교통여건이 불편한 운정4동은 가상정류장 설치 시 택시 업계와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이어 '2023년 이후 DRT의 확장·증차 사업을 계획하지 말라'는 요청에 대해서는 "향후 정부와 광역자치단체의 정책을 미리 예측할 수 없으므로 대신 DRT 확장·증차 시 택시업계와 소통토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비대위 관계자는 "협상안에 대해 100% 만족하지는 않지만, 시민의 교통편의를 위해 택시업계도 한발 양보해 원만히 합의했다"고 말했다.

앞서 파주시는 운정신도시에서 운영 중인 똑버스가 운송 개시 후 올해 6월까지 누적 사용자가 40만명을 돌파했고, 10대에 불과한 똑버스를 증차해 달라는 요구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며 광탄면, 탄현면, 월롱면 등 농촌지역으로 '똑버스' 확대 운영을 추진했다.

그러자 파주시 택시업계는 농촌 지역은 현재 '천원택시(2019년 4월 운행 시작)'가 운영되면서 주민들의 대중교통 이용 불편을 해소하고 있는데도 똑버스를 추가 도입하는 것은 중복투자이자 택시업계 생존권을 침해한다며 강하게 반대하고 나서 1년째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었다.

파주/이종태기자 dolsae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