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희대학교(총장·한균태) 동서의학대학원이 대한민국 식품산업의 미래를 이끌 전문가 양성에 매진, 주목을 받고 있다.
동서의학대학원은 2021년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원으로 미래식품학과를 신설해 운영 중이다. 미래식품학과는 농림축산식품부가 등록금 일부를 지원, 식품산업계 재직자를 재교육하는 석사 학위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동서의학대학원은 2021년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원으로 미래식품학과를 신설해 운영 중이다. 미래식품학과는 농림축산식품부가 등록금 일부를 지원, 식품산업계 재직자를 재교육하는 석사 학위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식품산업계 재직자 대상 재교육 석사과정 운영
미래식품학과 1기 졸업생 배출… 9월 2기 선발
미래식품학과는 식품산업 전문가 배출을 목표로 영양·식품 기능성 소재에 대한 과학적 이해와 폭넓은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했다. 실제로 고령친화 식품, 맞춤형 식품, 메디푸드 등에 필요한 융합적 교육과정을 커리큘럼으로 구성했다. 여기에 동서의학대학원에서 운영하는 '친고령융합과학연구센터'와의 협업으로 고령친화산업 기업과의 네트워킹 기회, 한의학·의과학 융합연구 등 타 대학원과의 차별화된 연구 경험도 제공한다.
다양한 실습과 현장학습도 이점으로 꼽힌다. 글로벌 식품시장 트렌드 이해를 돕기 위해 지난 3월에는 세계 3대 식품전시회로 알려진 'FOODEX JAPAN 2023' 참관을 지원했다.
2021년 9월 입학한 1기 신입생 20여 명은 지난 8월 졸업했고, 다음 달에는 2기 신입생 20명이 입학할 예정이다.
미래식품학과는 경희대 국제캠퍼스와 직선거리 50㎞ 이내, 또는 동일 행정구역의 산업체 근로자로 대졸 이상 학력을 가진 자는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수업연한은 4학기(2년)이며 이학석사 학위가 수여된다.
동서의학대학원 이정민 원장은 "전문 교과과정을 통한 업무 관련 지식 습득 외에 지역사회와 연계한 실생활 기반 리빙랩으로 문제 해결 능력도 기를 수 있다"고 밝혔다.
미래식품학과 1기 졸업생 배출… 9월 2기 선발
미래식품학과는 식품산업 전문가 배출을 목표로 영양·식품 기능성 소재에 대한 과학적 이해와 폭넓은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했다. 실제로 고령친화 식품, 맞춤형 식품, 메디푸드 등에 필요한 융합적 교육과정을 커리큘럼으로 구성했다. 여기에 동서의학대학원에서 운영하는 '친고령융합과학연구센터'와의 협업으로 고령친화산업 기업과의 네트워킹 기회, 한의학·의과학 융합연구 등 타 대학원과의 차별화된 연구 경험도 제공한다.
다양한 실습과 현장학습도 이점으로 꼽힌다. 글로벌 식품시장 트렌드 이해를 돕기 위해 지난 3월에는 세계 3대 식품전시회로 알려진 'FOODEX JAPAN 2023' 참관을 지원했다.
2021년 9월 입학한 1기 신입생 20여 명은 지난 8월 졸업했고, 다음 달에는 2기 신입생 20명이 입학할 예정이다.
미래식품학과는 경희대 국제캠퍼스와 직선거리 50㎞ 이내, 또는 동일 행정구역의 산업체 근로자로 대졸 이상 학력을 가진 자는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수업연한은 4학기(2년)이며 이학석사 학위가 수여된다.
동서의학대학원 이정민 원장은 "전문 교과과정을 통한 업무 관련 지식 습득 외에 지역사회와 연계한 실생활 기반 리빙랩으로 문제 해결 능력도 기를 수 있다"고 밝혔다.
용인/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