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주시는 6일 문산읍 임진리 선착장에서 어린 황복 27만 마리와 대농갱이 15만 마리를 방류했다고 밝혔다.
이날 치어 방류는 수산자원 회복으로 어업인의 소득증대를 위해 마련됐으며, 시는 방류사업 효과를 높이기 위해 임진강 및 선착장 주변의 각종 폐어망·어구, 생활 쓰레기 등을 수거하는 정화활동도 병행했다.
한편 파주시는 임진강 수산자원 회복을 위해 1997년부터 어린 물고기 방류사업을 시작했으며, 올해는 2억2천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황복, 참게, 동자개 등 58만 마리의 어린 물고기를 방류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임진강 민물고기를 파주의 대표 특산물로 육성하는 등 어민들의 소득증대를 위해 임진강 수산자원 회복에 정성을 쏟고 있다"며 "어민들도 임진강 어장 주인으로서 적법한 어망·어구를 사용하고 임진강 생태계 보전에 힘써 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이날 치어 방류는 수산자원 회복으로 어업인의 소득증대를 위해 마련됐으며, 시는 방류사업 효과를 높이기 위해 임진강 및 선착장 주변의 각종 폐어망·어구, 생활 쓰레기 등을 수거하는 정화활동도 병행했다.
한편 파주시는 임진강 수산자원 회복을 위해 1997년부터 어린 물고기 방류사업을 시작했으며, 올해는 2억2천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황복, 참게, 동자개 등 58만 마리의 어린 물고기를 방류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임진강 민물고기를 파주의 대표 특산물로 육성하는 등 어민들의 소득증대를 위해 임진강 수산자원 회복에 정성을 쏟고 있다"며 "어민들도 임진강 어장 주인으로서 적법한 어망·어구를 사용하고 임진강 생태계 보전에 힘써 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파주/이종태기자 dolsae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