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1201000471100021982.jpg
2015년부터 운영을 중단한 부천 경인랜드 내 시설물들이 녹슬고 찢겨진 채 장기간 방치돼 있다. 부천/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

부천지역 폐놀이공원인 '경인랜드'가 8년째 방치된 흉물로 전락하면서 시민들의 안전 사고 우려가 날로 커지고 있다.

12일 찾은 부천시 종합운동장 내 경인랜드(원더존) 부지. 2천300㎡ 규모의 폐놀이공원은 공포영화에나 나올법한 을씨년스런 분위기를 풍겼다.

어린이들을 태우고 달렸을 회전목마는 찢겨나간 천막 밑에서 누렇게 색이 바랜 채 멈춰서 있었다. 회전식 놀이기구 '빙빙'은 낙엽으로 뒤덮였고, 위아래로 춤추듯 돌던 '댄싱카'는 부식돼 심한 녹을 드러냈다.

조종실은 아예 유리창이 산산이 조각나 흉기나 다름없어 보였고, 아이들이 뛰어다녔을 놀이공원 안길은 성인 키 높이 만큼 자라난 풀들이 대신했다.

회전목마·댄싱카 등 기구 8년 방치
출입금지 펜스 부실 안전사고 우려

놀이공원 통로에는 '무단침입 시 형사 처벌을 받는다'는 출입금지 팻말이 걸린 펜스가 처져 있었지만 이조차 제대로 통제되지 않아 종합운동장과 산책로를 오가는 시민들의 출입을 막기는 어려워 보였다.

2023091201000471100021981.jpg
2015년 운영 중단 후 장기간 방치되고 있는 부천 경인랜드에 '출입 금지' 팻말이 내걸려 있다. 부천/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

주민 박모(63)씨는 "운동 삼아 이 길을 자주 오가는데, 방치된 놀이시설을 볼 때마다 눈살이 찌푸려진다"면서 "특히 깨진 유리 등이 방치된 현장을 보면, '저러다 언제 한번 사고가 나지 싶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고 말했다.

앞서 15종의 놀이기구로 2007년 문을 연 경인랜드는 부천시가 부천종합운동장 역세권 종합개발계획을 추진하기 위해 2015년 10월 일반유원시설업 갱신사용 불허를 사업자 측에 통보하면서 운영이 전면 중단됐다.

이후 놀이시설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는 경인랜드와 부천시 간 소송전 끝에 법원이 시의 손을 들어줬지만, 여전한 양측의 갈등으로 시설물 철거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사업자 소송에 시설물 철거 미완료
市 "가압류·경·공매 등 진행 예정"

이 때문에 시의회도 안전 문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윤병권 의원은 최근 열린 임시회 시정질의에서 "시민이 부식된 놀이기구에 의해 피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며 시에 정비계획 마련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시는 안전관리 강화와 함께 경인랜드를 상대로 한 행정집행을 서두르겠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시설물 방치에 따른 시민들의 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 펜스 등을 보강하겠다"면서 "아울러 토지 무단소유에 대한 변상금 납부와 시설물 원상복구 등을 거부 중인 경인랜드를 상대로 내년 상반기 중 가압류 및 경·공매 등의 절차를 진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부천/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