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년 9월 도입한 시흥화폐 '시루'가 5년만에 누적 발행액 1조원을 돌파했다.
13일 시흥시에 따르면 도입 첫해 30억원이었던 시루 발행액은 2019년 383억원으로 훌쩍 뛰었고, 2021년 2천886억원, 2022년 2천987억원을 기록했다. 올해는 2천700억원을 목표로 현재까지 1천907억원을 발행했으며 청년기본소득, 산후조리지원비 등 각종 복지수당 정책 발행 830억원까지 포함한 누적 발행액은 1조61억원이다.
지역화폐는 통상 지역총생산(GRDP)의 1% 규모를 발행하면 지역 경제 활성화 기여 효과가 있는데, 시루는 2020년부터 시 지역총생산(통계청 기준 약 12조원)의 1%인 1천200억원 이상의 유통량을 기록하고 있다.
현재 시루 가맹점은 1만4천600여 곳으로 지역 어디서든 사용에 불편함이 없다. 지방정부 최초로 도입한 모바일 시루는 시 인구(58만명)의 62.5%인 36만2천여 명이 사용자 등록을 완료하는 등 주요 결제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13일 시흥시에 따르면 도입 첫해 30억원이었던 시루 발행액은 2019년 383억원으로 훌쩍 뛰었고, 2021년 2천886억원, 2022년 2천987억원을 기록했다. 올해는 2천700억원을 목표로 현재까지 1천907억원을 발행했으며 청년기본소득, 산후조리지원비 등 각종 복지수당 정책 발행 830억원까지 포함한 누적 발행액은 1조61억원이다.
지역화폐는 통상 지역총생산(GRDP)의 1% 규모를 발행하면 지역 경제 활성화 기여 효과가 있는데, 시루는 2020년부터 시 지역총생산(통계청 기준 약 12조원)의 1%인 1천200억원 이상의 유통량을 기록하고 있다.
현재 시루 가맹점은 1만4천600여 곳으로 지역 어디서든 사용에 불편함이 없다. 지방정부 최초로 도입한 모바일 시루는 시 인구(58만명)의 62.5%인 36만2천여 명이 사용자 등록을 완료하는 등 주요 결제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해마다 증가… 올해 '2700억' 목표
가맹점 1만4600여곳 결제 자리매김
시는 모바일 시루가 안정적으로 발행됨에 따라 앱(App) 기반의 다양한 연계 정책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하루 1만보를 걸으면 최대 100 시루를 지급하는 '만보시루', 골목상권 전용 지역화폐 기프티콘 플랫폼인 '시루 동네티콘', 비닐봉지 대신 장바구니 사용 시 100시루를 지급하는 '에코시루' 등이 시민 건강권 증진과 지역 경제 활성화, 탄소 중립 실천 등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소상공인 배달 경비 절감을 위해 추진한 시루 배달앱 '먹깨비'는 약 2억8천만원의 비용을 절감한 것으로 추산된다.
하루 1만보를 걸으면 최대 100 시루를 지급하는 '만보시루', 골목상권 전용 지역화폐 기프티콘 플랫폼인 '시루 동네티콘', 비닐봉지 대신 장바구니 사용 시 100시루를 지급하는 '에코시루' 등이 시민 건강권 증진과 지역 경제 활성화, 탄소 중립 실천 등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소상공인 배달 경비 절감을 위해 추진한 시루 배달앱 '먹깨비'는 약 2억8천만원의 비용을 절감한 것으로 추산된다.
수수료 없어 소상공인 실질적 도움
내년부터 민·관협력 인센티브 확대
인천대 후기산업 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시루의 부가가치 창출 효과는 발행액 1% 증가 시 부가가치 세수가 0.2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루 사용이 늘수록 지역 소상공인 가맹점 매출도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 시루 발행에 따른 증대 세수가 45억원으로 추정됨에 따라 시루 유통으로 늘어난 세수가 시루 유통 활성화를 위한 예산을 상당 부분 상쇄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결제수수료가 없어 지역 소상공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는 평가다.
백종만 시 경제국장은 "내년부터는 시루 활성화 도약기로 정하고 할인 혜택과 연계 정책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도록 민·관 협력을 통한 인센티브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흥/김성규기자 seong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