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협은 18일 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년이 조금 넘는 시점에서의 2번의 광명시의회 파행은 민주당과 국민의힘 시의원들이 민생은 뒤로한 채 거대양당 '힘 싸움'을 하는 것"이라며 "의장과 부의장의 책임은 더 크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윤리특별위원회가 '징계 대상 아님'으로 판단했더라도 안 의장의 가족과 친인척이 주민참여예산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한 사실은 부적절하고 '반복적인 의회 파행', '성비위 사건을 수단으로 상대 정당의 부의장을 불신임 안건 강행' 등 사회적 비난과 갈등을 고조시킨 장본인으로서 안 의장은 그 책임을 피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광명시민단체협의회가 18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광명시의회의 파행운영과 성비위 사건의 책임을 지고 안성환 의장과 구본신 부의장의 동반 사퇴를 촉구했다. 광명/문성호기자 moon23@kyeongin.com
구 부의장에 대해서도 시민협은 "의장단의 한 축으로 시민들을 위한 의정활동이 아닌 의장과의 대립각만 세워 광명시의회 파행에 한몫했다"면서 "더욱이 구 부의장은 한 최근 언론을 통해 밝혀진 성비위 사건으로 의원 자질에 대한 의심 받고 있고, 시의회에서 불신임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시민협은 구 부의장과 관련해 ▲윤리특위 구성 및 신속한 성비위 사건 조사 ▲시의회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피해자 보호조치 시행 ▲성폭력·성차별 예방시스템 및 재발방지 대책 마련 ▲의원 윤리강령 및 윤리실천규범 등에 성비위 징계기준 포함 ▲피해자에게 공개 사과 등을 요구했다.
시민협 관계자는 "이번 광명시의회 파행은 거대 정당의 주도권 싸움에 불과하다"며 "구 부의장뿐만 아니라 다수의 피해자 사건을 1인 피해자 사건으로 몰고 간 안 의장도 책임을 지고 동반사퇴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