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주시의 민선 8기 주요 사업인 '신청사 건립'과 '여주역 제2역세권' 및 '현암1지구' 도시개발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시는 신청사 건립과 2개 도시개발사업의 중요 행정절차 중 하나인 타당성 조사가 행정안전부가 정한 타당성 조사 전문기관(한국지방재정공제회·한국지방행정연구원)과 약정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타당성 조사 착수에 들어갔다고 19일 밝혔다.
'지방재정법'에 따라 총 사업비 500억원 이상인 신규 사업에 대해서는 행안부 장관이 정해 고시하는 전문기관으로부터 타당성 조사를 받고 그 결과를 토대로 투자심사를 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시는 신청사 건립(부지 면적 4만9천36㎡, 총사업비 1천520억원 상당)과 관련해 지난 7월14일 경기도에 타당성조사를 의뢰했다. 이후 행안부로부터 타당성조사 전문기관을 지정받아 지난 8월28일 시 신청사 건립의 필요성 및 당위성 등에 대한 사업설명과 함께 지난 5일 과제선정위원회 심의를 거쳐 타당성조사를 실시하기로 최종 의결했다.
행안부 지정 전문기관과 약정 체결
市 "부동산 투기·난개발 방지 최선"
시는 신청사 건립 부지인 가업동과 경강선을 연계한 제2역세권 도시개발사업(면적 53만6천555㎡, 총사업비 1천498억원 상당)을 추진해 주변 난개발을 방지하고 기반시설 확충 등 계획적이고 효율적인 개발을 오는 2029년까지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또 강북지역 주민들의 청원과 개발 요구가 높은 현암1지구 도시개발사업(면적 31만9천777㎡, 총사업비 1천370억원)도 함께 추진해 2030년까지 계획적인 개발을 유도해 나갈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본격적인 타당성조사가 시작된 만큼 시민의 오랜 염원인 신청사 건립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타당성 조사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겠다"며 "또한 신청사 건립과 경강선 광역철도(GTX), 여주~원주 간 복선 전철 등 여주역세권 주변 개발 수요가 높아지고 있어 부동산 투기와 난개발이 예상되는 만큼 체계적인 도시개발사업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신청사 건립과 2개 도시개발사업의 중요 행정절차 중 하나인 타당성 조사가 행정안전부가 정한 타당성 조사 전문기관(한국지방재정공제회·한국지방행정연구원)과 약정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타당성 조사 착수에 들어갔다고 19일 밝혔다.
'지방재정법'에 따라 총 사업비 500억원 이상인 신규 사업에 대해서는 행안부 장관이 정해 고시하는 전문기관으로부터 타당성 조사를 받고 그 결과를 토대로 투자심사를 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시는 신청사 건립(부지 면적 4만9천36㎡, 총사업비 1천520억원 상당)과 관련해 지난 7월14일 경기도에 타당성조사를 의뢰했다. 이후 행안부로부터 타당성조사 전문기관을 지정받아 지난 8월28일 시 신청사 건립의 필요성 및 당위성 등에 대한 사업설명과 함께 지난 5일 과제선정위원회 심의를 거쳐 타당성조사를 실시하기로 최종 의결했다.
행안부 지정 전문기관과 약정 체결
市 "부동산 투기·난개발 방지 최선"
시는 신청사 건립 부지인 가업동과 경강선을 연계한 제2역세권 도시개발사업(면적 53만6천555㎡, 총사업비 1천498억원 상당)을 추진해 주변 난개발을 방지하고 기반시설 확충 등 계획적이고 효율적인 개발을 오는 2029년까지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또 강북지역 주민들의 청원과 개발 요구가 높은 현암1지구 도시개발사업(면적 31만9천777㎡, 총사업비 1천370억원)도 함께 추진해 2030년까지 계획적인 개발을 유도해 나갈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본격적인 타당성조사가 시작된 만큼 시민의 오랜 염원인 신청사 건립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타당성 조사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겠다"며 "또한 신청사 건립과 경강선 광역철도(GTX), 여주~원주 간 복선 전철 등 여주역세권 주변 개발 수요가 높아지고 있어 부동산 투기와 난개발이 예상되는 만큼 체계적인 도시개발사업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여주/양동민기자 coa007@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