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천시정연구원 설립'이 좌초된 데 따른 정치적 후폭풍이 거세지고 있다.
부천시의회의 관련 조례안 부결 이후 조용익 시장이 전면 보류를 선언(9월20일자 9면 보도=조용익 시장 "부천시정연구원 설립 전면 보류")하자, 시의회 국민의힘이 조 시장의 행태를 규탄하고 나서면서 사실상 전면전으로 확산하는 모습이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21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 시장을 겨냥해 "편향된 정치적 행보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부천시의회의 관련 조례안 부결 이후 조용익 시장이 전면 보류를 선언(9월20일자 9면 보도=조용익 시장 "부천시정연구원 설립 전면 보류")하자, 시의회 국민의힘이 조 시장의 행태를 규탄하고 나서면서 사실상 전면전으로 확산하는 모습이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21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 시장을 겨냥해 "편향된 정치적 행보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국힘의원 '시장의 원색 비난' 규탄
"편향된 정치적 행보 중단" 촉구
'혈세 낭비' 설립 반대 의사 확고
"편향된 정치적 행보 중단" 촉구
'혈세 낭비' 설립 반대 의사 확고
이들은 "조 시장은 시정연구원 설립 조례가 부결된 이유가 시의회 국민의힘 의원들의 주도로 이뤄졌으며, 조례를 내년 총선을 염두해둔 정쟁의 도구로 삼았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며 "이것은 분명한 허위사실이며, 시 집행부를 견제하는 의회 본연의 역할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특정 정당 의원들만을 대상으로 '시정의 발목을 잡았다'는 등의 원색적인 비난을 하는 것은 성숙하지 못한 감정적인 정치적 행보"라고 덧붙였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시정연구원 설립에 대해서도 '반대' 의사를 분명히했다.
이들은 "시 재정자립도가 28.3%로 타 지자체에 비해 현저하게 낮으며, 광역동 정책 실패로 400억원의 혈세가 낭비되는 상황에서 막대한 혈세가 투입되는 시정연구원 설립은 재정적으로 시기적으로 적절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어 "시정연구원 설립에 대한 시민 공청회를 한 번도 개최하지 않았으며, 시의원들과 충분한 소통과 설득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시장의 독단적인 주도로 무리하게 추진된 정책"이라며 "실효성에 대한 명확한 근거나 데이터를 충분하게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마치 시정연구원이 시의 미래를 책임져 줄 것이란 허황된 주장은 전혀 설득력이 없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끝으로 "정치적 입장이나 정쟁이 아닌 오직 시민만을 바라보며 시정연구원 설립을 반대했음을 분명하게 밝힌다"며 "불확실한 성공을 기대하며 과도한 예산을 투입하는 정책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절대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정 정당 의원들만을 대상으로 '시정의 발목을 잡았다'는 등의 원색적인 비난을 하는 것은 성숙하지 못한 감정적인 정치적 행보"라고 덧붙였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시정연구원 설립에 대해서도 '반대' 의사를 분명히했다.
이들은 "시 재정자립도가 28.3%로 타 지자체에 비해 현저하게 낮으며, 광역동 정책 실패로 400억원의 혈세가 낭비되는 상황에서 막대한 혈세가 투입되는 시정연구원 설립은 재정적으로 시기적으로 적절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어 "시정연구원 설립에 대한 시민 공청회를 한 번도 개최하지 않았으며, 시의원들과 충분한 소통과 설득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시장의 독단적인 주도로 무리하게 추진된 정책"이라며 "실효성에 대한 명확한 근거나 데이터를 충분하게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마치 시정연구원이 시의 미래를 책임져 줄 것이란 허황된 주장은 전혀 설득력이 없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끝으로 "정치적 입장이나 정쟁이 아닌 오직 시민만을 바라보며 시정연구원 설립을 반대했음을 분명하게 밝힌다"며 "불확실한 성공을 기대하며 과도한 예산을 투입하는 정책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절대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천/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