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501000968600048024
일러스트/박성현기자 pssh0911@kyeongin.com

기념(記念). 뜻깊은 일이나 사건을 잊지 않고 마음에 되새김. 전쟁기념관은 '잊지 말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마산방어전투기념관을 통해 잊지 말아야 할 것은 나라를 구하기 위해 목숨을 바친 군인들과 자유민주주의이다. 만약 이 두 가지를 잊는다면 아픈 역사는 반복될 수 있다. 마산방어전투는 지난 1950년 8월 1일부터 9월 14일까지 45일간 마산 일대에서 한미동맹군과 인민군간 벌인 전투다.

이 기간 핵심 격전지였던 서북산은 고지의 주인이 19번이나 뒤바뀌었고 인민군 4천여명과 미군 1천여명이 희생됐을 정도로 큰 규모의 전투였다. 하지만, 미군 주도 전투라는 이유 등으로 기념관 하나 없이 잊혀 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 기념사업회가 발족하고, 여러 선양사업이 진행되면서 점차 시민들과 지역사회에서 마산방어전투가 알려졌다. 미래세대를 위한 교육의 장이 될 기념관 설립의 필요성 또한 커지고 있어 주목을 모으고 있다.

1950년 8월1일~9월14일 '대혈전'
'최초' 한미연합 작전 전개 주장도
육사 발간 '60대 전투' 기록 전무
기념사업회 창립 다양한 선양활동
내달중 용역… 부지 선정 등 논의


1. 마산방어전투 기념사업회는 지난해 12월 마산 일대에서 마산방어전투 전적지 답사를 진행했다. 출처 박
마산방어전투 기념사업회는 지난해 12월 마산 일대에서 마산방어전투 전적지 답사를 진행했다. /경남신문=박준혁기자

■ 최초 한미연합 작전


=1950년 8월 1일 북한군은 남침 36일 만에 진주를 점령한 데 이어 마산 현동검문소에 집결했다. 중국 국공내전에 참전해 전쟁 경험이 풍부한 조선족들로 구성된 북한군 6사단 7천여명은 함안·진동 고산지대를 확보 후 마산 점령을 노리고 있었다.

당시 이 일대를 주둔하고 있던 국군은 1천여명에 불과했다. 미 8군 사령관인 워커 중장은 급히 경북 상주에 주둔 중인 미 25보병사단을 250㎞ 넘는 마산으로 단 2일 만에 이동시켰다. 이에 맞춰 진주에서 후퇴한 미 24사단도 창녕에 낙동강 방어선 진지를 구축했다.

마산을 점령하려는 북한과 사수하려는 국군과 미군은 8월 1일부터 9월 14일까지 45일간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결국 마산방어전투에서 아군의 승리로 북한군의 부산 점령을 막을 수 있었고, 국군과 UN군이 재정비할 시간을 벌 수 있었다. 또한 9월 16일 인천상륙작전이 성공하면서 반전의 기회를 가져왔다.

마산방어전투가 최초 한미연합작전이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하순복 경남대 군사학과 교수는 "최초 한미연합 작전으로 알려진 다부동 전투는 8월 13일 시작됐지만, 마산방어전투는 그보다 5일 앞선 7일부터 연합작전을 전개했다"며 "또한 연합 작전은 한명이 지휘체계를 잡고 전투를 지휘해야 하는데 다부동 전투의 경우 그런 성격은 아니었다. 마산방어전투는 국군이 미군에 배속되어 하나의 지휘체계가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 교수는 "마산방어전투는 최초의 한미연합작전임과 동시에 한미동맹 출발점이다"라며 "연합작전을 통해 피를 나누며 싸웠기에 동맹이 강해졌기에 그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3. 배대균 마산방어전투기념사업회 회장이 지난해 12월 마산방어전투 전적지들 시민들과 답사하며 전사와
배대균 마산방어전투기념사업회 회장이 지난해 12월 마산방어전투 전적지를 시민들과 답사하며 전사와 관련해 설명하고 있다. /경남신문=박준혁기자

■ 기념관 설립해 선양활동 진행해야


=나라의 운명이 달린 전투였지만, 마산방어전투를 기억할 전쟁기념관 하나 없을 뿐만 아니라 육군사관학교에서 발간한 '6·25전쟁 60대 전투'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관련 시설은 해병대진동리지구 전첩비, 서북산 전적비뿐이다. 달성에서 진해까지 낙동강 방어선은 미군 부대가 주력이었기에 그동안 관련 전투들은 관심이 떨어졌다.

잊힌 전투를 기억하고자 지난 2021년 '마산방어전투기념사업회'가 창립됐고, 다양한 선양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배대균 마산방어전투기념사업회 회장은 2016년 진해 미 해군 사령관의 추천서를 받아 미국 정부 서류저장처에 보관된 마산방어전투 당시 미 25사단의 전투일지를 확보했다.

이후 3년간 A4용지 500매 분량의 일지를 직접 번역해 책 '마산방어전투'를 출간했다. 그는 금속탐지기를 미국에서 직접 사와 전투일지에 나타난 전적지를 100차례 이상 답사해 탄환, 포탄 파편, 군복 단추 등을 발굴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지역 주민들과 함께 전적지를 답사하며 마산방어전투를 알리고 있다. 지난 6월에는 처음으로 학술대회를 개최해 전쟁사 전문가들이 마산방어전투의 중요성에 대해 논하는 자리도 마련됐다. 향후 기념사업회는 기념관 건립 운동과 더불어 토론회, 사진전 등을 개최할 계획이다.

2. 마산방어전투기념사업회는 지난 6월 처음으로 학술회의를 개최했다. 출처 박준혁 기자
마산방어전투기념사업회는 지난 6월 처음으로 학술회의를 개최했다. /경남신문=박준혁기자

■ 기념관 건립 용역 조사 곧 시작


=창원시는 오는 10월 중 '(가칭) 마산방어전투 재조명 및 기념관 건립 기획 용역' 입찰 공고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용역에는 전사 연구와 더불어 부지 선정 등에 대해 논의될 예정이다.

창원시 관계자는 "마산방어전투라는 명칭 자체가 전쟁사에 없다 보니 객관적인 자료를 조사할 예정이다"라며 "미군 측에는 자료가 있지만, 한국에는 자료가 부족한 게 현실이다. 용역 자료를 기반으로 기념관 부지와 이름을 정할 계획이다. 용역 기관은 최소 5개월 정도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홍남표 창원시장 또한 당선인 시절 본지와 인터뷰에서 기념관 건립에 관해 관심을 표했다. 홍 시장은 과거 "낙동강방어선 주요 전투 중 포항·영천·다부동·박진 전투는 많이 알려진 반면, 마산방어전투는 별로 조명을 받지 못했다.

그런 가운데 지난해 마산의 뜻있는 분들이 민간 차원에서 '마산방어전투기념사업회'를 결성해 기념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다행스럽게 생각한다"며 "마산방어전투 전적기념비와 기념관 건립도 국가보훈처 차원의 선양사업과 연계해 추진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민간 차원의 기념사업회의 활동과 지자체 차원의 공론화 과정 등을 거치면서 마산방어전투 의미를 지역은 물론 전국에 널리 알리고, 이를 토대로 기념사업의 방향을 정립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본다"고 밝힌 바 있다.

4. 배대균 마산방어전투기념사업회 회장 출처 박준혁 기자
배대균 마산방어전투기념사업회 회장.

■ [인터뷰] 배대균 마산방어전투기념사업회 회장, "잊혀가고 있는 현실 답답… 전시될 자료·증언 모을것"

美25사단 전투일지 번역 출간
고지 직접 올라 발굴 나서기도


"나라를 살린 마산방어전투, 기념관 통해 잊지 말아야 됩니다."

올해 93세인 배대균 마산방어전투기념사업회 회장은 뚜렷이 이렇게 말했다. 배 회장은 90세가 넘는 고령이지만, 직접 마산방어전투 관련 자료를 모으고, 전적지를 답사하고 있다. 만약 그가 미25사단 전투 일지를 번역해 책(사진)을 출판하지 않았더라면, 영영 이 전투는 잊혀 왔을 것이다.

그는 "기념관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 지역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있어야 할 시설"이라며 "6·25전쟁 초기에 마산을 방어해 부산을 지켰기에 나라와 자유민주주의를 지킬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배 회장은 "아직 기념관이 없어 잊혀 가고 있는 현실이 답답하지만, 창원시에서 용역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하니 상당히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5. 마산방어전투 표지.

배 회장은 앞으로도 기념사업회를 통해 시민들에게 마산방어전투를 꾸준히 알릴 계획이다. 방어전투 참전자 유해와 유품들이 있다는 소식을 듣고, 등산로 하나 없는 고지를 올라 직접 발굴에 나선 것도 그였다.

"다양한 선양 활동과 언론 등을 통해 점차 시민들이 마산방어전투를 알아가고 있어 뿌듯합니다. 전투를 직접 겪은 마산지역 주민들도 기념관 건립을 염원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지어질 기념관에 전시될 자료와 증언을 모으고, 유품을 발굴할 생각입니다."

/경남신문=박준혁기자

2023092501000968600048027


2023092501000968600048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