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와 안성시의회 간 첨예한 이견으로 수년간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던 안성도시공사 설립 문제가 최근 김보라 시장의 전향적인 입장 변화로 그동안 꼬였던 실타래가 풀릴 전망이다.

28일 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시는 2021년 7월 의원간담회 보고를 시작으로 같은 해 11월 도시공사 설립을 위한 타당성 조사를 위한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이후 2022년 6월 공사 설립을 위한 조례안을 입법예고한 뒤 같은 해 8월 안건을 의회에 상정했지만 행정절차상 등의 문제를 이유로 국민의힘 의원들의 반대, 안건은 부결(2022년 9월16일자 7면 보도=[클릭 핫이슈] '뜨거운 감자' 안성도시공사 설립)됐다.

이에 시는 같은 해 11월 안건을 재차 시의회에 상정했지만 같은 이유로 부결된 뒤 현재까지 답보상태에 머물러있다.

시는 그동안 도시공사 설립을 위한 행정절차에 문제가 없고 이미 진행된 행정절차를 다시 진행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반면 의원들은 타당성 용역 조사가 완료되지 않은 시점에 조례안을 입법예고하고 의원들과 소통하겠다고 하면서도 주민설명회를 행정사무감사 기간에 진행해 의원들의 참여를 사실상 불가능하게 하는 등의 절차상 문제를 들어 반대 입장을 밝혀왔다.

하지만 김 시장이 최근 폐회한 제217회 임시회에서 '필요하다면 집행부와 의회가 함께 도시공사 설립 타당성 용역을 재추진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혀 도시공사 설립 문제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됐다.

김 시장은 당시 시정질의에 대한 답변에서 "시는 주민설명회 등을 통해 도시공사 설립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설명하고 의원들의 이해와 양해를 구하는 일에 최선을 다해왔지만 (의원들이 주장하는) 사전 절차와 과정, 용역 결과에 있어 충분히 납득하거나 명쾌하게 동의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시장은 이어 "필요하다면 지금이라도 집행부와 의회가 머리를 맞대고 도시공사 설립을 위한 타당성 용역을 재추진함으로써 모두의 이해와 지지를 기반으로 한 명분있는 가부간의 결정으로 하루빨리 논란이 매듭되기를 희망한다"고 제안했다.

이 같은 김 시장의 전향적인 입장 변화로 의원들은 내부 논의를 거쳐 도시공사 설립 문제를 검토할 계획이다.

A의원은 "그동안 김 시장이 도시공사 설립을 추진함에 있어 의원들의 의견을 묵살하고 의원들과 소통한다고 하고서는 뒤에서 일방적으로 행정을 강행한 선례가 있기 때문에 김 시장을 비롯한 집행부의 진정성 있는 실천 의지를 먼저 살펴본 뒤 동료의원들과 시간을 두고 심도있게 도시공사 설립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안성/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