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박마을 관련
사진은 '新 고려인타운'으로 불리는 인천시 연수구 함박마을. /경인일보DB

 

5일 오전 7시40분 인천 연수구 함박마을에서 만난 고려인들은 서둘러 상점에서 즐겨 먹는 전통 빵 '삼사'(고기 빵)를 집어 들고 발걸음을 재촉했다. 함박마을 거리 곳곳은 편한 차림에 배낭을 메고 모여든 이주민들로 북적였다. 이들이 이른 시간 거리에 모인 이유는 인근 남동국가산업단지, 옥련동 중고차수출단지 등 일터로 이동하는 승합차, 순환버스를 기다리기 위해서다.

함박마을은 인천의 대표적 이주민 밀집지역으로 꼽힌다. 주민 5명 중 3명이 이주민으로, 지속해서 이주민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곳에 자리 잡은 이주민들은 지역 산업을 지탱하는 일꾼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함박마을, 주민 5명 중 3명 외국인… 지속 증가
부평구 미얀마거리·중구 차이나타운 등도 둥지
일자리 물론 2·3세 교육정책 등 커지는 중요성
내국인 상인과 갈등 해소 등 상생 방안 과제로
 


인천은 함박마을 외에도 부평구 미얀마거리, 중구 차이나타운 등 여러 지역에 오랜 기간 이주민들이 터를 잡아 살아가고 있다. 부평지역에는 미얀마 불교 사원이 있고, 미얀마인 협동조합 등 각종 커뮤니티도 운영되고 있다. 부평이 전국 미얀마인의 근거지 역할을 하면서 미얀마 국민들의 민주화운동을 지지하는 행사도 지속해서 열리고 있다. 이렇듯 인천은 여러 지역에 정착한 이주민의 다양성을 포용해 새로운 모습으로 공간이 재편되고 있다.

인천은 전국 지자체 중 이주민 수, 전체 인구 중 이주민 비율이 모두 다 늘어난 유일한 지역이다. 지역사회에서 이주민 비중이 커지는 만큼, 이들을 대상으로 한 정책 방향성에 대한 지역사회 고민이 한층 깊어지고 있다.

이주민들의 생계와 맞닿은 일자리 문제부터 국내에 머무르는 이주민 2·3세 교육 정책에 대한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이주민과 내국인 상인 간 갈등을 해결할 방안도 필요하다. 함박마을의 경우 이주민 상점이 늘어나면서 내국인 상인들의 가게 매출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경인일보는 올해 창간 78주년을 맞아 인천의 다문화 정체성을 살펴봤다. 인천이 오랜 기간 다문화를 수용해온 국제도시라는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선 이주민과 내국인 간 교류를 확대하고 개방과 포용의 기틀을 공고히 해야 한다. 갈등 해소를 위한 상생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 관련기사 10·11면([창간 78주년] 4년 이내 인천 전역은 '다문화 사회' 요건 부합 도시 진입)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

2023100401000080000003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