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들이 사라지고 있다. 농·어촌, 제조 산업단지 같은 곳은 말할 것도 없고 상대적으로 청년들의 선호도가 집중됐던 기업 현장, 공공기관 등도 예외는 아니다. 지난달 통계청이 발표한 8월 고용동향 자료에서 '그냥 쉬었다'는 청년이 40만명을 넘었다는 통계는 분야를 막론한 '청년 실종' 현상을 짐작케 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제조업만 해도 2018년 1분기엔 20·30대 종사자(일자리 수)가 195만7천명에 이르렀지만 5년 만인 올 1분기엔 171만3천명으로 24만명 이상이 감소했다. 전체적인 일자리 수가 5만개 이상 증가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제조업 현장은 더 고령화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숙박·음식점업, 정보통신업 등 일부 업종 외엔 대체로 청년이 귀해진 것은 대동소이하다. 그 많던 청년은 대체 어디로 갔을까.
청년들이 사라지는 이유는 다양하다. 직장 생활에서의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해, 정말 좋아하는 일을 찾기 위해, 자신이 진정으로 나아갈 길을 모색하기 위해 청년들은 '실종'을 자처했다. 희망을 갖고 버티기엔 처우가 열악하고 금전적 보상이 크지 않아, 미래를 그리기 어렵다는 점도 한목소리로 말한다. 그나마 각 분야에서 자리를 지키고 있는 청년들조차 "이해한다"는 반응이다.
청년을 찾아보기 힘들어진 산업현장에선 걱정이 가득하다. 단순히 일할 사람이 없어서만의 문제는 아니다. 청년은 곧 미래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미래가 보이지 않는 산업은 어느새 사라지고 말 것이라는 불안감이 날이 갈수록 커진다. 창간 78주년을 맞은 경인일보는 앞으로의 100년을 준비하면서 경기·인천지역의 밝은 내일을 위해 지금의 청년실종사태를 진단했다. → 관련기사 6~8면([창간 78주년] 청년 실종┃왜 그들은 직장을 떠나는가)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