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국대학교(총장·안순철)가 3D프린팅 분야 글로벌 1위 기업인 스트라타시스와 손잡고 아시아 최초로 3D프린팅 R&D센터 설립에 나선다.
양 기관은 11일 첨단제조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 협약을 체결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견인할 3D프린팅 분야 엔지니어를 양성하는 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1989년 설립된 스트라타시스는 현재 3D프린팅 분야 글로벌 1위 기업으로 항공우주, 자동차, 산업기계, 의료분야 등의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3D프린팅 기술과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양 기관은 11일 첨단제조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 협약을 체결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견인할 3D프린팅 분야 엔지니어를 양성하는 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1989년 설립된 스트라타시스는 현재 3D프린팅 분야 글로벌 1위 기업으로 항공우주, 자동차, 산업기계, 의료분야 등의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3D프린팅 기술과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단국대, 3D프린팅 글로벌 1위 기업과 산학협약
12월 죽전캠에 첨단제조혁신융합연구센터 구축
이날 협약식에는 안순철 단국대 총장과 얀 라지울(Yann Rageul) 스트라타시스 부사장, 문종윤 스트라타시스 한국지사장 등이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오는 12월 단국대 죽전캠퍼스 내에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3D프린팅 분야 첨단제조혁신융합연구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죽전캠퍼스 종합실험동에 264㎡ 규모로 설립되는 DKU-SSYS 첨단제조융합연구센터에는 스트라타시스가 51억 원을 투입해 SLA, SAF, FDM 기반의 최신 첨단 3D프린팅 장비 등을 도입하며 50㎡ 규모의 기업 협업 공간을 별도로 조성해 제조 기업 지원에도 나설 계획이다.
양 기관은 공동 R&D장비 운영, 3D 프린팅 소재·장비 연구 등을 통해 차세대 고정밀 3D프린터 연구 기반을 활성화하고 3D프린팅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다양한 교육·연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연구센터를 우리나라와 글로벌 시장을 연결하는 3D프린팅 분야 혁신 허브로 발전시켜 나갈 방침이다.
안순철 총장은 "미래차·로봇·반도체·디지털 헬스케어 등 첨단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과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단국대가 이번 협약을 통해 우리나라 첨단 제조 산업을 선도하는 R&D허브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전했다.
12월 죽전캠에 첨단제조혁신융합연구센터 구축
이날 협약식에는 안순철 단국대 총장과 얀 라지울(Yann Rageul) 스트라타시스 부사장, 문종윤 스트라타시스 한국지사장 등이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오는 12월 단국대 죽전캠퍼스 내에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3D프린팅 분야 첨단제조혁신융합연구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죽전캠퍼스 종합실험동에 264㎡ 규모로 설립되는 DKU-SSYS 첨단제조융합연구센터에는 스트라타시스가 51억 원을 투입해 SLA, SAF, FDM 기반의 최신 첨단 3D프린팅 장비 등을 도입하며 50㎡ 규모의 기업 협업 공간을 별도로 조성해 제조 기업 지원에도 나설 계획이다.
양 기관은 공동 R&D장비 운영, 3D 프린팅 소재·장비 연구 등을 통해 차세대 고정밀 3D프린터 연구 기반을 활성화하고 3D프린팅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다양한 교육·연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연구센터를 우리나라와 글로벌 시장을 연결하는 3D프린팅 분야 혁신 허브로 발전시켜 나갈 방침이다.
안순철 총장은 "미래차·로봇·반도체·디지털 헬스케어 등 첨단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과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단국대가 이번 협약을 통해 우리나라 첨단 제조 산업을 선도하는 R&D허브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전했다.
용인/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