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평군의회는 16일 열린 제317회 임시회에서 미국 국방부의 '동해(East Sea)'에 대한 '일본해(Sea of Japan)' 단독 표기 규탄 결의문을 채택했다.
결의문을 대표 발의한 강민숙 의원은 미국 국방부의 '동해(East Sea)를 일본해(Sea of Japan)로 단독 표기하겠다'는 공식 입장에 대해 심각한 우려와 함께 즉각적인 수정을 촉구했다.
강 의원은 "지난 2월 미국 국방부는 동해상에서 한·미·일 훈련을 했을 당시 훈련 해역을 동해가 아닌 일본해로 표기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동해를 일본해로 공식 표기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동해라는 명칭은 광개토대왕릉비(414), 성덕대왕 신종(771), 삼국사기(1145) 등 여러 고고학적 유산에 기록돼 있고, 심지어 일본 에도시대 말기 다카하시 카게야스가 제작한 일본변계약도에서도 조선해로 표기돼 있는 등 동해는 한반도 지역에서 유서 깊은 명칭이라는 점을 부인할 수가 없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1974년 전 세계 해역 명칭의 표준을 결정하는 국제기구인 국제수로기구(IHO)에서는 특정 바다의 인접국 간에 명칭 합의가 없는 경우, 당사국 모두의 명칭을 병기하도록 권고했다"며 "한국과 일본 사이의 해역을 동해 및 일본해로 병기하고 있었던 상황 속에서 미국 국방부의 독단적이고 일방적인 일본해 단독표기 결정은 매우 성급하고 잘못된 행위"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동해 해역 내 독도 영유권 분쟁의 여지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는 단순한 명칭 표기 문제를 넘어선 상황임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강 의원은 미국 국방부의 잘못된 동해 표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사국 간의 대화를 재개 등 모든 외교적 능력을 다할 것을 촉구하는 군의회의 입장을 피력했다.
결의문을 대표 발의한 강민숙 의원은 미국 국방부의 '동해(East Sea)를 일본해(Sea of Japan)로 단독 표기하겠다'는 공식 입장에 대해 심각한 우려와 함께 즉각적인 수정을 촉구했다.
강 의원은 "지난 2월 미국 국방부는 동해상에서 한·미·일 훈련을 했을 당시 훈련 해역을 동해가 아닌 일본해로 표기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동해를 일본해로 공식 표기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동해라는 명칭은 광개토대왕릉비(414), 성덕대왕 신종(771), 삼국사기(1145) 등 여러 고고학적 유산에 기록돼 있고, 심지어 일본 에도시대 말기 다카하시 카게야스가 제작한 일본변계약도에서도 조선해로 표기돼 있는 등 동해는 한반도 지역에서 유서 깊은 명칭이라는 점을 부인할 수가 없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1974년 전 세계 해역 명칭의 표준을 결정하는 국제기구인 국제수로기구(IHO)에서는 특정 바다의 인접국 간에 명칭 합의가 없는 경우, 당사국 모두의 명칭을 병기하도록 권고했다"며 "한국과 일본 사이의 해역을 동해 및 일본해로 병기하고 있었던 상황 속에서 미국 국방부의 독단적이고 일방적인 일본해 단독표기 결정은 매우 성급하고 잘못된 행위"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동해 해역 내 독도 영유권 분쟁의 여지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는 단순한 명칭 표기 문제를 넘어선 상황임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강 의원은 미국 국방부의 잘못된 동해 표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사국 간의 대화를 재개 등 모든 외교적 능력을 다할 것을 촉구하는 군의회의 입장을 피력했다.
가평/김민수기자 km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