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도시공사(이하 공사)가 '의왕·군포·안산 공공주택지구 조성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가장 큰 숙제인 자본금을 어떻게 마련할지 지역사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시유지 등 현물출자를 통한 자본금 마련 안이 나올 때마다 동의가 필수인 안산시의회를 비롯해 지역사회의 시선이 곱지 않기 때문이다.
시유지 등 현물출자를 통한 자본금 마련 안이 나올 때마다 동의가 필수인 안산시의회를 비롯해 지역사회의 시선이 곱지 않기 때문이다.
23일 시와 공사에 따르면 공사는 장상·신길2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에 이어 3기 신도시 의왕·군포·안산 공공주택지구 조성 사업에도 참여할 방침이다.
연이은 채권발행에 유일 대안 불구
시의회 동의 필수·지역 시선 엇갈려
"지분 확정 후 재원마련 방식 결정"
이를 위해 공사는 지난 18일 의왕도시공사, 군포도시공사와 업무협약(10월19일자 9면 보도=군포·의왕·안산도시공사, 3기신도시 성공 '한뜻')을 맺고 머리를 맞대기로 하는 등 고무적인 추진력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사업참여를 위한 공사의 자본은 현재 녹록지 않은 실정이다.
앞서 공사는 장상·신길2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에 참여(장상 10%·신길2 20% 지분)하는 자본금을 마련하기 위해 채권을 발행한 바 있다.
이마저도 반대 여론 속에 2년여 가까이 추진하다 지난해 말에야 성공했으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채권으로 마련된 1천200억원가량은 그 목적에 따라 장상·신길2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에만 써야 한다.
시의회에 동의도 얻어야 하고 현물출자의 부동산 등도 필요한데 그나마 신길동 63블록이라는 시유지가 있어 채권 발행이 가능했다.
문제는 이번 의왕·군포·안산 공공주택지구 조성 사업의 자본금 마련도 현물출자를 통한 채권 발행이 현재로서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점이다. 장상지구 개발 참여에 이은 연이은 현물출자에 대한 지역사회의 평가가 엇갈릴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에 대해 공사 관계자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경기도·안산시 등 관계기관 협의를 통해 공사를 비롯한 3개 지역 공사의 참여 지분을 확정하고 사업성을 검토, 재원마련 방식을 시와 결정할 계획"이라며 "사업 지분이 확정돼야 재원 규모와 현물출자 등 세부적인 방식을 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도 "사업 지분 10% 내에서 참여하는 방향에 대해선 동의한 상황"이라며 "부지도 아직 미정이고 시의회의 동의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시의회 동의 필수·지역 시선 엇갈려
"지분 확정 후 재원마련 방식 결정"
이를 위해 공사는 지난 18일 의왕도시공사, 군포도시공사와 업무협약(10월19일자 9면 보도=군포·의왕·안산도시공사, 3기신도시 성공 '한뜻')을 맺고 머리를 맞대기로 하는 등 고무적인 추진력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사업참여를 위한 공사의 자본은 현재 녹록지 않은 실정이다.
앞서 공사는 장상·신길2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에 참여(장상 10%·신길2 20% 지분)하는 자본금을 마련하기 위해 채권을 발행한 바 있다.
이마저도 반대 여론 속에 2년여 가까이 추진하다 지난해 말에야 성공했으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채권으로 마련된 1천200억원가량은 그 목적에 따라 장상·신길2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에만 써야 한다.
시의회에 동의도 얻어야 하고 현물출자의 부동산 등도 필요한데 그나마 신길동 63블록이라는 시유지가 있어 채권 발행이 가능했다.
문제는 이번 의왕·군포·안산 공공주택지구 조성 사업의 자본금 마련도 현물출자를 통한 채권 발행이 현재로서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점이다. 장상지구 개발 참여에 이은 연이은 현물출자에 대한 지역사회의 평가가 엇갈릴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에 대해 공사 관계자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경기도·안산시 등 관계기관 협의를 통해 공사를 비롯한 3개 지역 공사의 참여 지분을 확정하고 사업성을 검토, 재원마련 방식을 시와 결정할 계획"이라며 "사업 지분이 확정돼야 재원 규모와 현물출자 등 세부적인 방식을 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도 "사업 지분 10% 내에서 참여하는 방향에 대해선 동의한 상황"이라며 "부지도 아직 미정이고 시의회의 동의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안산/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