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수 전국다문화도시협의회장이 지난 3월 국회에서 열린 '다문화 이주민 정책 포럼'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김포시 제공
전국다문화도시협의회 회장도시이자 국제교류 요충지인 김포시가 법무부 '출입국·이민관리청(가칭·이하 이민청)' 유치활동을 공식 선언했다.
앞서 한동훈 법무부장관은 지난해 취임 일성으로 이민정책 콘트롤타워인 이민청 신설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김병수 김포시장은 올해 5월 과천시민회관에서 열린 '세계인의 날 기념식'에 다문화도시협의회장 자격으로 참석, 한동훈 장관을 만나 이민청 김포 유치의 당위성을 설명한 바 있다.
유치시 김포에 처음 들어서는 정부기관본청 유럽·미주에 이르기까지 세계인 출입국관리 교육·문화·의료 등 글로벌 시설 뒤따를 전망 법률·복지·외사기관, 각국문화원 끌어올수도
25일 시에 따르면 김포는 외국국적동포보다 등록외국인이 더 많은 수도권 대표 다문화도시다. 김포를 중심으로 고양·파주, 인천 서구·강화 등 수도권 서부권역에만 8만여명의 이주민이 살고 있어 김포에 이민청이 설립될 경우 직접수요가 상당한 것으로 시는 보고 있다.
김포시가 이민청을 유치하면 지역에 처음 들어서는 정부기관 본청이 된다. 이 경우 가까이 아시아에서 유럽·미주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인의 출입국 관리가 김포에서 이뤄지고, 교육·문화·의료 등 다양한 글로벌 시설이 뒤따를 전망이다.
국가정책 협력에 따른 행정·재정적 부수효과와 함께, 법률·복지·외사 등을 담당하는 국가기관(분원)이나 각국 문화원 추가 유치도 예상된다.
김포시는 서울을 비롯해 김포·인천국제공항, 경인항·인천항 등 국제교류를 위한 거점마다 30분 이내에 도달하는 지리적 특성을 강점으로 꼽는다. 하늘길과 물길 외에도 시는 항공교통(UAM), BRT, 자율주행스마트도로 등 최첨단 미래교통시스템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김포시는 이 밖에도 11개 산업단지에서 쏟아내는 일자리, 풍부한 가용지를 바탕으로 다문화·이주민 특화도시 개발 여지, 김포한강2콤팩트시티 등 대도시 기반 조성, 대곶지구 친환경스마트재생사업 추진에 따른 첨단일자리 확대 가능성 등도 유치경쟁력으로 내세우고 있다.
김병수 김포시장이 법무부 세계인의 날 행사에서 한동훈 장관을 만나 환담하고 있다. /김포시제공
김포, 외국국적동포보다 등록외국인 더많아 하늘길·물길 외 최첨단 미래교통 도입 박차 가용지 풍부…다문화·이주민 특화개발 여지 김병수 시장 쌍방향상호문화 정책변화 선도
이민청 TF를 구성해 전략을 수립 중인 김포시는 기존의 일방적 '다문화주의'에서 쌍방향 '상호문화주의'로 정책 변화를 선도하고 있다. 김병수 시장은 지난 6월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소속 '이주배경주민과의 동행 특별위원회'가 주최한 '이주배경주민과의 동행 특별위원회 제안설명 및 토론회'에서도 다문화 개념을 '쌍방향 상호문화'로 발전시켜 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김포시는 이주배경 청소년이 가장 많은 통진읍에 내년 상반기 개소하는 '상호문화교류센터'를 통해 상호문화 개념을 현실화한다. 이들을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외국인주민지원센터를 운영하며 한국어·법률 교육, 15개 언어 통·번역, 적응프로그램, 의료서비스도 지원하고 있다. 민선 8기 들어 보편적 보육기회 제공을 위해 0~5세 외국인 아동에 총 28만원의 보육료를 지원하는 점도 주목된다. 올해 180여명의 외국인 아동이 혜택을 받았다.
김병수 시장은 "외국인 주민 정책시계가 빨라지는 밑바탕에는 인구절벽과 노동력 부족이라는 절박한 현실이 자리한다"며 "언론이나 미디어에서 인식개선에 노력해주지 않으면 외국인 주민 정책은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 외국인 주민과의 공존은 이제 가볼 만한 길이 아닌, 가야 할 길이 됐다"고 정부 정책기조에 힘을 보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