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안산시가 인구 유입에 대한 방안으로 원활한 도시 개발을 추진하기 위해 한시적 기구인 도시개발단을 신설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조직개편을 추진했지만 시의회 제동으로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이로 인해 보통 1월1일자로 진행하는 조직 개편도 늦어질 수밖에 없어 시의회에 대한 노조의 반발이 예상된다.
조직개편안 본회의서 다시 부결
"원안만 고수… 조직내부도 불만"
승진인사에 영향 노조 반발 예고
25일 안산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지난 23일과 24일 열린 제285회 시의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민선 8기 이민근 시장이 야심차게 내놓은 조직개편안이 부결됐다.
앞서 시는 4급직의 평생학습원을 폐지하고 평생학습과로 축소하는 대신 대규모 공공주택지구인 장상지구와 의왕·군포·안산지구의 개발에 보다 집중하기 위해 한시 기구인 도시개발단을 신설하는 조직개편안을 만들었다.
하지만 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에서 부결된 이후 국민의힘 의원들의 요청으로 본회의에 다시 안건으로 부쳐졌지만 다수당인 더불어민주당 반대로 가결되지 못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같은 당인 시장의 조직개편안 가결을 위해 이틀에 거쳐 정회와 속회를 반복하는 긴 싸움을 벌였지만 여소야대(민 11·국 9)의 약점을 극복하지 못했다.
민주당의 한 의원은 "집행부에 여러 차례 수정 등의 시간을 줬지만 원안만 고수하고 있다"며 "평생학습원장도 반대하는 등 조직 내부에서도 이번 개편안에 대해 불만이 커 상임위에서조차 부결됐던 것"이라고 반대 이유를 설명했다.
문제는 아파트 공급 등 도시 개발이 시급한데 조직개편 차질로 시의 도시개발단 신설 등이 미뤄지면서 적기를 놓칠 수 있다는 점이다.
인구감소도 여야 할 것 없이 시의 가장 큰 숙제다.
게다가 안산시청공무원노동조합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안산시지부 등 노조가 '2024 조직개편안 의결 촉구를 위한 노동조합 의견서'를 내며 조직개편안의 신속한 처리를 촉구했던 만큼 이번 부결로 시의회에 대한 반발이 커질 수 있다.
조직개편이 늦어질수록 직원들의 가장 큰 사기 진작 요인인 승진인사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고 상대적으로 취약한 8·9급 등 청년 공무원들의 실망이 클 것이란 게 노조의 입장이다.
시는 승진적체로 9급 공무원 수가 역대 가장 많은 500여 명에 이르고 무보직 6급도 200여 명에 달한다. 신규 공무원의 퇴직자 수도 최근 3년 간 67명이다. 또 5급 사무직도 4급 승진 연한을 불과 며칠 채우지 못해 퇴직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시 관계자는 "의회와의 원만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산/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