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2701001006900052491.jpg
/시흥시 제공

지난 10여 년간 시흥 시민과 도시의 성장을 가꿔온 시흥아카데미가 올해 시흥시민캠퍼스Q로 이름을 바꾸고 시민과 행정이 함께하는 지방자치의 제2막을 열었다.

시흥시민캠퍼스Q에서 Q는 질문(Question)의 Q를 말한다. '질문에 답이 있다'는 인문학적 명제에서 시작됐다. 질문을 통해 지식과 소양의 양(Quantity)을 늘리고, 이를 통해 삶의 질(Quality)을 높이는 시흥시 평생학습의 가치를 담고 있다.

시흥아카데미는 2012년 시민의 정주의식을 높이고, 다양한 정책학습을 통해 풀뿌리 지방자치를 실현하기 위해 시작됐다. 도시재생과 환경, 육아와 에너지 등 도시를 구성하는 전반을 주제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시민과 공무원, 전문가 등이 학습을 통해 소통하고 정책을 생산·결정·평가하는 새로운 형태의 거버넌스 모델로서 지역사회에 안착했다. 2012년 스웨덴학교를 시작으로 백년정원학교·배곧 숲학교 등 다양한 정책 학습의 기회를 제공해왔다.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2016년 한국정책학회 주최 '전국 지방자치단체 부문' 정책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시흥아카데미는 독일의 시민대학 운영을 모델로 삼았다. 독일 바이마르 헌법에 성인교육의 공적 책임이 명시된 1919년부터 시작됐다. 누구나 쉽고 다양한 교육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프로그램 주제도 시민정치부터 언어, 철학, 예술, 청소하는 법과 같은 생활강좌까지 전 분야를 망라한다.

2023102701001006900052492.jpg
/시흥시 제공

시흥시민캠퍼스Q는 ▲인문학 소양으로 세상을 보는 관점을 키우는 '인문학교' ▲부모 자신과 자녀, 가족 모두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부모학교'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배우며 지역 정체성을 키우는 '뿌리학교' ▲생활 속 민주주의 실천원리를 배우는 '시민학교' 등 총 4개 학교로 구성돼 있다.

원래 시흥아카데미는 시민이 도시 정책에 함께 참여하며 지방자치를 가꿔나가기 위해 시작됐다. 도시를 바로 알고, 도시의 미래와 더 나은 민주주의와 지방자치의 실현을 함께 고민해 보는 것이 시흥이 만드는 시민대학의 가장 큰 특성인 것이다.

이 특성을 시흥시민캠퍼스Q도 이어받아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배우며 지역 정체성을 키우는 '뿌리학교' 와 생활 속 민주주의 실천원리를 배우는 '시민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뿌리학교에서는 시흥의 역사와 자연환경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룬다. 특히 시흥 간척의 역사를 통해 지역의 젖줄이 된 호조벌이 탄생한 경위를 살펴볼 수 있고, 일제강점기 아픔을 지니고 있는 갯골과 염전의 역사를 돌아보며 지역을 더 사랑하는 길을 함께 찾아나간다.

시는 내년에는 '참여'를 통한 캠퍼스 영역 확장을 꾀하고 있다. 시가 구상하고 있는 '시민학습연구실'이 그것이다. 모집된 시민연구원들이 기획부터 커리큘럼 개발까지 주도한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이후 각 학교별로 운영할 예정이다.

시 평생교육원 관계자는 "시흥시민캠퍼스Q로 새롭게 도약하는 시흥 평생교육이 시민의 삶 속에 더욱 깊숙이 들어서고 있다. 교육으로 시민의 현재를 가꾸고 도시의 미래를 꿈꾸는 교육도시 시흥시 비전이 실현되기 시작됐다"고 말했다. 

시흥/김성규기자 seong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