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경현 구리시장이 최근 지역 최대 이슈로 급부상한 '구리시의 서울시 편입'과 관련 "시 발전에 도움될 수 있을 것"이라며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백 시장은 2일 오전 구리시청 본관 3층 상황실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김포시, 하남시, 광명시, 구리시 등 서울에 인접한 도시의 서울시 편입을 국민의힘 당론으로 추진하는 상황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혔다.
그는 "예전부터 구리시는 개발제한구역, 상수원보호구역, 군사보호지역, 수도권정비계획법에 의한 과밀억제권역 등 중첩규제로 인해 도시 개발이 억제돼 왔다"며 "이에 따라 자족도시로서의 역할 수행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백 시장은 2일 오전 구리시청 본관 3층 상황실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김포시, 하남시, 광명시, 구리시 등 서울에 인접한 도시의 서울시 편입을 국민의힘 당론으로 추진하는 상황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혔다.
그는 "예전부터 구리시는 개발제한구역, 상수원보호구역, 군사보호지역, 수도권정비계획법에 의한 과밀억제권역 등 중첩규제로 인해 도시 개발이 억제돼 왔다"며 "이에 따라 자족도시로서의 역할 수행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한강변 스마트 그린시티 등 개발사업 속도 가능…
편입되더라도 역차별 해소로 자족도시 발전해야"
그러면서 백 시장은 "앞서 발표된 언론 보도와 같이 구리시가 서울시로 편입될 경우, 시 발전에 도움이 되는 부분도 있을 것을 예상된다"는 긍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특히 "우선 교통 인프라가 향상될 수 있다. 서울시 버스 총량제와 같이 시민들의 실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대중교통 무제가 해결될 수 있어 시민들의 불편이 크게 줄어들 수 있을 것"이라며 "부동산 등 자산가치의 상승도 기대된다. 한강변 스마트 그린시티와 같은 개발사업도 속도감 있는 진행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구리시는 편입되더라도 특별 자치구로서 각종 규제로 인한 개발 억제를 해소하고, 한강변 도시 개발은 물론 수도권 규제와 기업지원에 대한 수도권 역차별 해소로 기업들을 유치해 자족도시로 발전돼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시는 현재 이슈화되고 있는 구리시의 서울시 편입에 대한 시민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기 위해 여론조사와 공청회 등을 통해 시민들의 의견을 청취하겠다는 계획이다.
백 시장은 "시민 의견을 수렴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구리시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적극적으로 동참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리/하지은기자 z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