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1401000594100028531.jpg
윤풍영 안산시 전략사업관은 14일 언론 정례 브리핑에서 이민청 유치를 위해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안산/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

다문화도시 안산시가 이민청 유치에 행정력을 집중하는 등 사활을 걸었다. 다만 관련 조례 발의를 두고 주도권 싸움을 벌이는 안산시의회 여야가 발목을 잡을까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14일 시는 언론 정례브리핑을 통해 '안산의 길이 대한민국의 길'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이민청 유치를 재차 공식화했다.

윤풍영 전략사업관은 이 자리에서 "안산은 외국인 비중이 14%(10만1천850명)로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압도적 1위"라며 "2005년 전국 최초로 외국인 전담기구를 설치하고 2009년 전국 유일 다문화마을특구 지정 등 이민청 신설에 가장 적합한 도시"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안산은 내국인과 118개국의 외국인이 공존하며 오랜 기간 삶의 터전을 이룬 지자체이며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 아동에게 보육료도 지급하는 등 외국인에 대한 정책도 가장 적극적이다. 이민청 유치는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함께 시가 미래를 위해 사활을 건 사업이다.

市, 경제구역 지정과 함께 사활
여야, 관련조례 발의 줄다리기


문제는 시의회에서의 잡음이다.

지난달 본회의에서 다뤄졌어야 할 이민청 유치 관련 조례 발의가 여야의 주도권 다툼에 미뤄지면서(10월27일 인터넷 보도=제9대 안산시의회, 협치 끝나고 갈등의 서막… 국민의힘 "민주당, 관례 무시"
국민의힘 의원 상정 안건 민주당 당론
) 내년을 기약해야 할 형편이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측 모두 이민청 유치에 대한 중요성을 알고 있기에 관련 조례를 차지하고자 양보 없는 팽팽한 줄다리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통상 먼저 의사를 표현한 의원이 조례를 발의하는 것이 의회의 관례인데 이마저도 무시된 실정이다.

한 의원은 "12월 회기에는 사안이 너무 많아 빨라도 내년 1월은 돼야 다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산/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