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의회의 행정사무감사가 1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감사장을 달굴 핵심 현안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15일 부천시의회에 따르면 시의회는 오는 22~30일 9일간 시 행정 사무 전반을 점검하고, 현안 사업의 문제점을 살피는 행정사무감사에 돌입한다.

특히 이번 행감에서는 3개 상임위에서 여야 간 공방이 오갈 것으로 보이는 준 쟁점 사안에 시선이 모여진다.

22일부터 9일간 3개 상임위 공방 예고
시의 사과 촉구 vs 일반동 전환 성과
도시공사 '세금폭탄' 이슈도 뜨거워

행정복지위원회에서는 내년 1월1일부터 시행되는 '3개구 37개 일반동 전환'과 맞물려 '광역동 폐지'에 대한 정치적 책임론이 도마에 오를 것으로 관측된다.

이미 야당인 국민의힘 의원들로 꾸려진 '광역동 폐지를 위한 정책 연구 모임'이 광역동 소요예산 검토를 골자로 한 정책연구용역을 통해 13억원 이상의 막대한 예산이 소요된 점을 꼬집고 나선만큼 여야 간 마찰이 불가피해 보인다.

국민의힘은 이번 행감에서도 광역동 폐지에 따른 정치권과 집행부의 책임과 사과를 촉구하고 나설 방침인 반면, 시의회 다수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다시 일반동으로 전환된데 따른 성과를 부각하는데 방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

재정문화위원회에서는 조용익 시장의 '전면 보류 선언'으로 일단락된 부천시정연구원 설립 무산(9월15일자 6면 보도=부천시정연구원 설립 부결… 시의회 과반 실패)을 둘러싸고 격돌이 예상된다.

무엇보다 시정연구원 설립은 총선 시계가 빨라지는 상황에서 여야 간 당론으로 맞붙은 끝에 좌초된 현안이라는 점에서 책임 공방에 더욱 불이 붙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아울러 조례안 부결 책임을 놓고도 여야가 첨예하게 각을 세웠던 터라 격화된 양측의 감정이 수면 위로 표출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정치권의 시각이다.

민주당 대표의원인 김주삼 의원은 "부천시정연구원 설립 조례안이 부결된 것은 국민의힘이 당론으로 반대한 영향 때문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며 "재정자립도와 막대한 예산 투입을 빌미로 삼은 데 대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시교통위원회에서는 부천도시공사를 향한 국세청발 '세금폭탄' 이슈가 감사장을 뜨겁게 달굴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국세청은 지난 2일 부천도시공사에 대한 세무조사 끝에 2017~2021년 5개년간의 대행사업비 부가가치세 명목으로 121억원을 과세한 상태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국세청의 과세를 '무리한 세무행정'의 결과로 보고 집행부에 강력 대응 방침을 촉구할 계획이다. 다만, 국민의힘은 이 과정에서 집행부의 과실도 함께 따져 묻겠다는 입장이다.

국민의힘 대표의원인 김건 의원은 "국세청의 과세로 막대한 출혈이 예상되는 만큼 집행부의 과실 여부도 함께 들여다볼 것"이라며 "아울러 상동영상문화단지 개발, 오정군부대이전사업 등 각종 개발사업이 지연되는데 대해서도 행감을 통해 추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천/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