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성시·대학·국회의원 '맞손'
역할 분담… 특별법안 발의도
역할 분담… 특별법안 발의도
안성시와 한경국립대학교, 최혜영(민·비례) 국회의원이 경기도 유일의 국립대학인 한경국립대에 의과대학 설치를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안성시와 한경국립대, 최혜영 국회의원이 16일 시청에서 경기도 유일의 국립대학인 한경국립대학교에 의과대학 신설 추진을 위한 협약식을 가졌다.
경기도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광역자치단체이지만 인구 1천명 당 의사 수는 1.8명으로 전국 평균 2.2명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도내 31개 시·군에 따라 활동 의사 수의 편차가 심하고, 실제 활동 의사 수가 가장 많은 성남시의 경우 인구 1천명 당 활동 의사 수가 3.61명 인 반면 과천시와 광주시 등은 각각 0.71명, 0.81명으로 집계돼 도내에서도 지자체별로 최대 5배 이상 차이가 나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시와 한경국립대, 최 의원 등은 한경국립대에 의과대학을 신설하기로 합의하고, 각 기관별로 역할을 분담해 빠른 시일 내에 결과를 만들어 내기 위한 행보에 돌입했다.
김 시장은 "안성시에는 도립의료원을 포함해 총 6개 대형 병원이 있는데 모두 의사를 구하기가 힘들어 안정적인 진료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의사 부족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공공의료정책도 실효를 얻기 힘든 만큼 한경국립대에 의과대학을 설치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이원희 총장도 "도내 의과대학은 소규모로 운영되고 있을 뿐 아니라 수련병원도 부족해 지역의 공공의료를 담당하기에는 상당히 제한돼 있다"며 "우리 한경국립대에 의과대학이 설치된다면 도민들의 의학적 치료와 더불어 취약계층에 대한 필수 의료 접근성을 확대해 국립대로서의 책무를 다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인 최 의원도 "시와 한경국립대의 취지에 공감해 '한경국립대학교 의과대학 설치에 관한 특별법안'을 지난 15일 대표 발의한 상태로 안성 뿐만 아니라 도민 모두가 공공의료 서비스 혜택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힘을 보태겠다"고 강조했다.
경기도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광역자치단체이지만 인구 1천명 당 의사 수는 1.8명으로 전국 평균 2.2명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도내 31개 시·군에 따라 활동 의사 수의 편차가 심하고, 실제 활동 의사 수가 가장 많은 성남시의 경우 인구 1천명 당 활동 의사 수가 3.61명 인 반면 과천시와 광주시 등은 각각 0.71명, 0.81명으로 집계돼 도내에서도 지자체별로 최대 5배 이상 차이가 나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시와 한경국립대, 최 의원 등은 한경국립대에 의과대학을 신설하기로 합의하고, 각 기관별로 역할을 분담해 빠른 시일 내에 결과를 만들어 내기 위한 행보에 돌입했다.
김 시장은 "안성시에는 도립의료원을 포함해 총 6개 대형 병원이 있는데 모두 의사를 구하기가 힘들어 안정적인 진료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의사 부족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공공의료정책도 실효를 얻기 힘든 만큼 한경국립대에 의과대학을 설치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이원희 총장도 "도내 의과대학은 소규모로 운영되고 있을 뿐 아니라 수련병원도 부족해 지역의 공공의료를 담당하기에는 상당히 제한돼 있다"며 "우리 한경국립대에 의과대학이 설치된다면 도민들의 의학적 치료와 더불어 취약계층에 대한 필수 의료 접근성을 확대해 국립대로서의 책무를 다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인 최 의원도 "시와 한경국립대의 취지에 공감해 '한경국립대학교 의과대학 설치에 관한 특별법안'을 지난 15일 대표 발의한 상태로 안성 뿐만 아니라 도민 모두가 공공의료 서비스 혜택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힘을 보태겠다"고 강조했다.
안성/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