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개 선사 중 3곳 中 지분율 75~98%
지역업체 생존 위협받자 여론 확산
국가경제 발전 화물선박 유치 제기
시민 사업참여 공모주 모집 의견도
지역업체 생존 위협받자 여론 확산
국가경제 발전 화물선박 유치 제기
시민 사업참여 공모주 모집 의견도
"이럴 바엔, 한·중 평택항 카페리 항로를 폐쇄한 뒤 평택항 국제 여객 부두에 화물 선박을 유치하는 것이 지역 및 국가 경제를 위해 더 나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한·중 평택항 카페리 지분 '중국 쏠림' 현상(11월14일자 9면 보도)이 평택 관련 업체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등 각종 후유증이 발생하자 평택지역 사회에 '카페리 무용론'이 확산되고 있다.
한·중 평택항 카페리 지분 '중국 쏠림' 현상(11월14일자 9면 보도)이 평택 관련 업체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등 각종 후유증이 발생하자 평택지역 사회에 '카페리 무용론'이 확산되고 있다.
19일 평택시민 및 시민단체, 관계 기관 등에 따르면 평택항 카페리는 한·중 해운협정 당시 결정된 '상호 호혜의 대등한 원칙(지분 50대 50)'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현재 평택항에는 5개 선사가 경제 활동을 하고 있다. 평택항~중국 산둥성 위해, 영성, 일조, 연태 등이며 평택항~ 강소성을 잇는 카페리도 뱃길을 가르고 있다.
이 가운데 3개 선사의 중국 측 지분율은 75~98%이며 또 다른 1개 선사의 한국 측 지분 상당수도 중국 측으로 넘어갈 것으로 알려지는 등 중국 예속화가 빨라지고 있다.
이 때문에 한국 측은 이미 대리점 수준의 하청 업무만 수행하는 종속 관계로 전락한 지 오래다. 일자리 창출, 지역 관련 업체와의 상생 발전 등은 옛말에 불과하다.

지분율 중국 쏠림은 또 다른 기이한 현상을 불러오고 있다. 중국 지분율이 높은 선사들이 이런저런 이유를 대며 여객운송은 뒤로 한 채 화물 영업만 하고 있다.
이에 상호 호혜(지분 50 대 50)의 원칙을 통한 공동 발전의 목적은 이미 사라진 만큼 한·중 평택항 카페리의 항로를 폐쇄해야 한다는 여론이 지역에 번져나가고 있다.
이와 관련, 민간 기업인 한국 측 선사들과 달리 중국 측은 국영 기업인 만큼 시간이 지날수록 '기울어진 운동장'이 될 것이란 분석이 2016년부터 꾸준히 제기돼 왔다.

시민들과 시민단체들은 이를 바로 잡기 위해선 평택시가 시민 공모주를 모집, 카페리 사업에 직접 참여하는 것도 방법 일 수 있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어 주목된다.
시민 김모(61) 씨는 "중국 측 선사들만 돈을 버는 이 같은 지분 구조는 한국 측 선사들이 들러리를 서는 꼴"이라며" 아예 카페리 항로를 접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일각에선 중국 측의 한국 선사 측 지분 확보가 매우 집요하고,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어 경제적인 이유 말고 다른 의도는 없는지, 크게 의심스러워 하고 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