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1901000789400039441.jpg
평택항./경인일보DB

5개 선사 중 3곳 中 지분율 75~98%
지역업체 생존 위협받자 여론 확산
국가경제 발전 화물선박 유치 제기
시민 사업참여 공모주 모집 의견도


"이럴 바엔, 한·중 평택항 카페리 항로를 폐쇄한 뒤 평택항 국제 여객 부두에 화물 선박을 유치하는 것이 지역 및 국가 경제를 위해 더 나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한·중 평택항 카페리 지분 '중국 쏠림' 현상(11월14일자 9면 보도)이 평택 관련 업체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등 각종 후유증이 발생하자 평택지역 사회에 '카페리 무용론'이 확산되고 있다.

19일 평택시민 및 시민단체, 관계 기관 등에 따르면 평택항 카페리는 한·중 해운협정 당시 결정된 '상호 호혜의 대등한 원칙(지분 50대 50)'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1111.jpg
평택항국제여객터미널.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

현재 평택항에는 5개 선사가 경제 활동을 하고 있다. 평택항~중국 산둥성 위해, 영성, 일조, 연태 등이며 평택항~ 강소성을 잇는 카페리도 뱃길을 가르고 있다.

이 가운데 3개 선사의 중국 측 지분율은 75~98%이며 또 다른 1개 선사의 한국 측 지분 상당수도 중국 측으로 넘어갈 것으로 알려지는 등 중국 예속화가 빨라지고 있다.

이 때문에 한국 측은 이미 대리점 수준의 하청 업무만 수행하는 종속 관계로 전락한 지 오래다. 일자리 창출, 지역 관련 업체와의 상생 발전 등은 옛말에 불과하다.

222.jpg
평택항 국제여객부두에 입항한 카페리선박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

지분율 중국 쏠림은 또 다른 기이한 현상을 불러오고 있다. 중국 지분율이 높은 선사들이 이런저런 이유를 대며 여객운송은 뒤로 한 채 화물 영업만 하고 있다.

이에 상호 호혜(지분 50 대 50)의 원칙을 통한 공동 발전의 목적은 이미 사라진 만큼 한·중 평택항 카페리의 항로를 폐쇄해야 한다는 여론이 지역에 번져나가고 있다.

이와 관련, 민간 기업인 한국 측 선사들과 달리 중국 측은 국영 기업인 만큼 시간이 지날수록 '기울어진 운동장'이 될 것이란 분석이 2016년부터 꾸준히 제기돼 왔다.

333.jpg
평택항 국제여객부두 가까이에서 서해대교가 보인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

시민들과 시민단체들은 이를 바로 잡기 위해선 평택시가 시민 공모주를 모집, 카페리 사업에 직접 참여하는 것도 방법 일 수 있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어 주목된다.

시민 김모(61) 씨는 "중국 측 선사들만 돈을 버는 이 같은 지분 구조는 한국 측 선사들이 들러리를 서는 꼴"이라며" 아예 카페리 항로를 접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일각에선 중국 측의 한국 선사 측 지분 확보가 매우 집요하고,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어 경제적인 이유 말고 다른 의도는 없는지, 크게 의심스러워 하고 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