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청 141대 포함 총 285대 운영 불구
전기차 일부만 예산부서 확대 관리
지침 없어… 정비소 등급 맞춰야

하남시가 운영하는 수백대의 공용차량이 관련 안내 지침 없이 부서별로 제각각 정비를 맡기면서 '유지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다.

공용차량의 경우 통합관리가 아닌 부서별 관리체계로 운영되다 보니 정비작업 가능 여부를 판가름하는 정비소별 등급 확인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채 유지 관리되고 있기 때문이다.

7일 하남시에 따르면 시는 본청에만 경유 63대, 수소 2대, 전기 31대, 하이브리드 15대, 휘발유 30대 등 총 141대의 공용차량을 유종별로 운영하고 있다. 보건소, 각 동 행정복지센터 등을 포함하면 총 285대의 공용차량을 운영 중이다.

이 가운데 시는 지난 4월부터 전기 차량 31대 중 18대만 예산 집행 관련 부서에서 확대 관리하고 있다. 나머지는 부서별로 유류비와 수리비 등의 별도 예산을 세워 관리 중이다. 이로 인해 시에선 부서별로 차량 정비가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차량 정비 시 관리법에 따라 정비소 등급에 맞춰 정비 작업이 이뤄져야 하지만 실상은 등급 분류 없이 부서별로 알아서 정비를 맡기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물론 관련 정비 안내 지침도 없다.

현행 자동차 관리법에 따르면 자동차종합정비소(1급 공업사)는 건설기계를 제외한 모든 차량을 대상으로 점검, 부품교체, 엔진 및 미션 수리, 판금, 도색 등을 할 수 있다. 소형자동차정비소(2급 공업사)는 건설기계, 대형차, 건설중장비 등을 제외한 승용차, 소형 이하의 승합차 및 화물차에 대해 1급 공업사의 작업 범위에서 정비를 할 수 있다. 자동차전문정비소(3급 공업사)는 2급 공업사 정비 차량에 한해 정비, 부품교체, 점검 등만 가능하다. 판금, 도색, 엔진 작업 등은 불가하다.

정비소 한 관계자는 "차량 정비를 맡기는 손님 대부분이 차량 등급에 맞춰 정비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지 모르고 있다"면서 "지자체의 경우 더욱 관련법에 맞는 등급에 따라 공용차량을 유지 관리해야 하지만 정확한 정보 인식 없이 각 부서에서 알아서 정비를 맡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공영차량을 각 부서에서 유지 관리하다 보니 정확한 정비 현황을 알지는 못한다"며 "마찬가지로 차량 정비소의 등급을 따져 정비를 맡기고 있지 않지만 앞으로는 안내지침 등을 통해 등급에 맞는 차량 유지관리를 해나가겠다"고 전했다.

하남/김종찬기자 chan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