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편차 축소 Vs 유권자 이동 최소화

광명 선거구 조정
광명시 갑·을 선거구. 2023.12.13 그래픽/성옥희기자 okie@kyeongin.com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이하 선거구획정위)의 22대 총선 지역구 획정안이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로 넘겨진 가운데 광명시갑·을선거구 경계조정을 놓고 지역구 국회의원간 이해관계가 대립하고 있다.


광명시갑·을선거구 모두 지역구 국회의원이 더불어민주당 소속이지만 친명·비명계로 나눠져 있는 만큼 최종 획정안이 변경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하는 상태다.


13일 선거구획정위에 따르면 총선 선거구 획정기준일(2023년1월31일)의 광명시갑·을선거구의 인구는 갑선거구(광명1~7·철산1~4동) 13만4천855명, 을선거구(하안1~4·소하1~2·일직·학온동) 15만2천748명으로 집계됐다.


갑선거구가 선거구 하한 인구수(13만5천521명)를 밑돌자 지역에서는 인구 1만2천127명인 하안4동이 갑으로 편입될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선거구획정위는 을선거구의 학온동(인구 2천1명)을 갑선거구로 편입시키는 경계조정안을 마련해 국회정개특위에 제출하면서 민주당 갑·을지역위원회의 입장이 찬반으로 엇갈리고 있다.


이는 학온동과 하안4동의 정치성향이 국민의힘과 민주당으로 뚜렷하게 대비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갑지역구는 11월 말 인구가 13만151명으로, 선거구 획정기준일 때보다 4천700여명이나 더 감소해 선거구 경계조정에 대해 민감할 수밖에 없다.


실제 지난해 6·1지방선거 때 광명시장 선거에서 학온동(거소·관외사전투표 제외)은 19개 행정동 중 유일하게 국민의힘 후보가 300표 가량 더 많이 득표했을 정도로 ‘보수불패’지역으로 손꼽고 있다. 이에 반해 하안4동은 민주당 후보의 득표가 350표가량 많았다.


광명시갑지역위원회는 학온동이 갑선거구로 편입될 경우, 갑·을선거구의 인구 편차가 심하고 이를 완화시키기 위해선 하안4동을 편입시켜야 한다는 주장하고 있다. 더욱이 광명동굴, 광명문화복합단지 등 을지역구 양기대 의원의 핵심사업이 학온동에 위치해 있다고 강조하면서 불편한 심기를 내비쳤다.


반면 광명시을지역위원회는 선거구 조정으로 인한 유권자 이동이 최소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하안4동이 갑선거구로 이동하면 갑·을선거구의 인구가 역전될 뿐만 아니라 23대 총선 때 현재 재건축·재개발 중인 아파트단지들이 입주하게 돼 또다시 선거구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반박했다.


한 광명지역 정치인은 “총선을 앞두고 한 표라도 아쉬운 상황에서 300표를 잃고 시작하느냐, 아니면 300표를 얻고 시작하느냐는 아주 중요한 문제”이라며 “중앙당 갑·을선거구가 친명·비명으로 갈려져 갈등이 빚어지듯 광명지역에서도 친명·비명간 갈등이 존재하고 있어 선거구 조정안을 놓고 힘겨루기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