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건폐장 못옮기면 진행 불가능”

김포시 “인천시안 되면 건폐장 못받아”

10월 8일 방화차량기지와 방화건설폐기물처리장
서울 방화동 5호선 차량기지와 건설폐기물처리장. /경인일보DB

서울시가 방화동 건설폐기물처리장 및 차량기지 합의 파기 시 5호선 연장사업을 진행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혀 지역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의 인천 계양을 총선 출마가 유력시되는 가운데,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가 인천시 노선안에 손을 들어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다.


지난 15일 서울시 관계자는 한 언론의 취재에 “건폐장과 차량기지 이전이 안 될 경우 5호선 연장에 대한 경제성과 편의성이 나오지 않아 사업이 진행될 수 없다”고 밝혔다.


최근 정치권 일각에서는 원 장관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빅매치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대광위가 인천시안으로 밀어붙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는데, 김병수 김포시장은 인천안 중심으로 노선이 결정될 경우 건폐장 합의 파기가 불가피하다는 뜻을 일찍이 시사한 바 있다.


김포시 등에 따르면 5호선이 서울로 직결되기 위해서는 서울시 동의가 필수적이다. 김포지역이든 인천지역이든 국토부 직권으로 5호선을 건설할 수는 있으나, 서울시 동의를 얻지 못하면 서울 경계에서 모든 승객이 환승해야 한다.


5호선 연장사업은 2019년 대광위의 ‘광역교통 2030’에 반영되고도 김포시도 인천시도 건폐장 수용불가 방침을 고수하면서 사업이 전혀 진척되지 않았다.


그러다 민선 8기 출범 직후인 지난해 11월 김포시와 서울시·강서구가 건폐장 및 차량기지 처리문제를 합의하면서 급물살을 탔다. 같은 날 국토부는 5호선 연장의 경제적 타당성 확보조치로 김포 콤팩트시티(4만6천가구) 조성계획을 동시에 발표했다.


김포지역 항의 현수막
올해 여름 5호선 노선 결정이 지연되자 김포지역에 내걸린 항의 현수막.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올해 초 김포골드라인 승객안전 문제가 전국적인 이슈로 급부상하면서 신속히 추진될 것 같던 사업은 대광위 테이블에서 반 년 넘게 표류하며 김포와 인천 간 갈등을 키웠다.


김포시는 인천 서구 3곳 이상을 경유하는 인천시 노선안을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김포시 관계자는 “5호선 연장사업이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서 누락됐을 때도 인천에서는 관심이 없었다”며 “김포시와 시민들의 노력으로 중단됐던 사업이 다시 살아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대광위가 인천시 노선안에 손을 들어준다는 것은 5호선 사업 실현의 핵심 주체인 서울시와 강서구, 김포시를 전부 무시하는 것이고 이는 곧 사업이 원점으로 되돌아간다는 의미”라며 “검단과 지척인 계양역에서 김포공항까지 한 정거장에 불과하고 최근 9호선의 계양역 연결도 합의된 상황에서 검단 주민들이 김포공항역까지 7~8정거장을 이동해야 하는 5호선을 얼마나 탑승할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또 김포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5호선 노선이 인천안으로 반영된다면 건폐장 이전문제는 인천시와 재협의해야 할 것”이라며 “만약 인천시가 이를 거부한다면 서울시는 차량기지만 옮기고 건폐장만 남는 5호선 연장에 동의해줄 이유가 없어진다”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지하철 5호선 연장사업 노선은 이르면 이번주 중 확정 발표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