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가 최근 급증하고 있는 무연고 사망 등 취약계층의 고독사 방지를 위해 스마트 돌봄사업을 확대한다.

18일 시에 따르면 가족 해체나 빈곤 등으로 혼자 살다가 숨진 뒤 장례를 치를 수 없는 무연고 사망자가 해마다 30% 이상씩 늘어나면서 지난해에만 87명에 달했다.

1인 가구도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 기준 약 11만8천가구(전체 가구의 28.3%)로 나타났다.

이에 시는 독거노인이나 중장년층 1인 가구의 고독사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스마트 플러그' 보급을 늘릴 방침이다.

지난해 도입한 해당 기기는 혼자 사는 저소득층이나 장애인 등의 가전제품에 설치돼 위기상황을 알리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고위험군 24시간, 위험군 36시간, 일반군 50시간 간격으로 전력 사용량과 전등 조도를 분석, 위험 신호를 감지한다.

조도나 전력 사용에 변화가 없으면 거주지 동 행정복지센터 담당자가 전화로 이상 유무를 확인한 뒤 연락이 닿지 않을 경우 방문 점검을 하게 된다.

독거노인이나 중증 장애인 가정에는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한 응급안전장비도 보급돼 화재나 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곧바로 119를 호출한다.

시는 이 밖에 의료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60~64세 연령대의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장애인, 국가유공자를 대상으로 무료 예방 접종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양/김환기기자 kh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