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길·주택가 청소차량 투입 사업
1대당 2억5천만원 5~7대씩 구매
“동의없는 결정 수십명 직원 어쩌나”
市, 축소 예측 못한 업체 책임 입장

남양주시가 미세먼지 저감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전국 지자체 최초로 소규모 청소차량을 투입한 ‘에코피아 클린시티’ 사업을 시행 중인 가운데 내년부터 사업규모를 대폭 축소하기로 해 관련업계가 반발하고 있다.
이미 청소차량을 구매해 수십억 상당의 금전적 피해를 입게 된 데다, 고용한 직원들의 거취가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25일 남양주시와 관내 청소업계 등에 따르면 시는 2021년 11월 미세먼지를 줄이는 환경혁신 프로젝트 ‘에코피아 클린시티’ 출범식을 갖고 소형 노면청소차를 도입, 골목길이나 주택가·상업지역 등에 투입하는 청소사업을 시작했다.
청소구역은 ▲평내·호평·화도·수동 ▲진접·오남·별내 ▲와부·진건·퇴계원 등 3개 권역으로 공개입찰로 계약한 3곳의 업체가 각 권역에서 10대씩 총 30대(시 13대, 업체 17대 소유)의 소형청소차를 운용하고 있다.
하지만 시가 최근 세수 감소 등의 예산 문제를 이유로 내년도 사업규모를 올해(43억원)보다 절반가량 줄어든 20억원으로 대폭 삭감하고, 시 소유 차량만 운행하기로 결정하면서 청소업체들이 일제히 반발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1대당 2억5천만원을 호가하는 차량을 각각 5~7대 구매했는데 사업 축소로 인해 사용할 수 없게 되면서 발생하는 재산상 피해와 직원들 해직 문제 등을 토로하며 사업 복구를 촉구하고 있다.
A업체 측은 “시가 지난해 8월까지만 해도 차량의 추가 구매를 유도해 3곳의 업체가 각각 2대씩 차량을 사들였다. 그런데 이제 와서 동의도 없이 사업을 축소하며 구매 차량에 대한 보장은 물론 직원 승계조차 거부하고 있다”며 “당장 내년 1월부터 업체 3곳의 수십 명 직원들이 직업을 잃게 됐다. 요구 수용시까지 집회 등 강경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시는 사업 추진 당시 대책 없이 규모를 크게 키웠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사업 축소를 예측하지 못한 업체에 책임이 있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추진 부서에서 수요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사업을) 키운 건 맞다. 그러나 사업을 하는 청소업체가 리스크를 고민하지 않은 게 가장 큰 문제”라며 “감가상각비 보전, 직원 승계 등 업체 측 요구는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힘들다. 그렇지만 피해가 덜 가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