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청
광명시가 상습적인 도시침수 방지를 위해 대규모 도심침수 예방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사진은 광명시청 전경. /광명시 제공

광명시가 이상기후에 따른 상습적인 도시침수 방지를 위해 대규모 도심침수 예방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시는 ▲목감천 하천정비사업 ▲하안동 하수도정비사업(지하 저류시설 및 하수관로 증설) ▲철산동 하수도 정비대책 수립 ▲철산·하안·소하 노후 하수관로 정비사업 ▲하수관로 GIS 구축사업 등 도심침수 예방사업을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우선 홍수취약지역인 광명동 지역 침수 방지를 위해 목감천 하천정비사업은 4천82억원이 투입돼 23만9천㎡ 규모의 대규모 홍수조절지(저류지)를 조성하고 12㎞에 이르는 목감천을 확장하는 사업으로, 올해 토지보상을 거쳐 2028년 준공할 방침이다.

또한 하안동 하수도정비사업은 500억원을 들여 오는 2027년까지 3만4천㎥ 규모의 지하 저류지와 금당로변 우수박스 신설할 예정이며 현재 국비확보를 위해 환경부 한강유역환경청과 협의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침수취약지역인 철산동 지역의 하수도 정비대책수립 용역을 연내 마무리하는 등 도시침수 방지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하수 역류, 지반 침하,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해 30년 이상 된 낡은 하수관로 13.8㎞에 대해서도 총 208억원을 투입해 단계적으로 보수공사를 추진 중이다.

철산동 단독필지 4개 구역 중 1구역은 2022년 준공됐으며 2~4구역은 오는 2026년까지 완료할 예정이며 하안·소하동지역은 지난해 실시설계를 완료한데 이어 2025년까지 준공할 계획이다.

시는 대규모 하수도 신·증설, 보수공사와 함께 체계적인 공공하수도 유지관리를 위해 작년 연말 광명시 전체 공공 하수관로 305㎞, 맨홀 7천23개에 대해 하수도 관망 공간정보시스템(GIS) 구축을 완료했다.

이 시스템을 통해 하수도 설치 연도, 위치, 깊이, 관 재질 등의 상세한 위치·속성정보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게 돼 신속한 하수도 보수, 공사비 절감이 기대된다. 아울러 수도·전기·통신 등 지하시설물 유관기관과 정보를 공유해 지하시설물 안전사고 예방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광명시는 민선7기인 2018년부터 5년간의 노력 끝에 지난해 12월 세계 438번째 국제안전도시로 인증을 받았다”며 “국제안전도시에 걸맞은 체계적인 하천·하수도 정비사업을 시행해 자연재해로부터 시민의 안전과 재산을 보호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