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는 사람이 쓴다·(에필로그)] 도시와 사람과 정치


8주간 지역가치 재설정·소셜기능 강화 보도
주민의견 수렴·반영된 적시적소 서포트 중요

오는 4월 10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은 벌써 뜨겁다. 1기 신도시의 재개발과 3기 신도시 개발, 이어지고 있는 노후화된 도시의 재생사업들은 경기도의 정치 이슈에서도 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최근에는 연천군 전곡읍과 김포시 통진읍이 2023년 하반기 정부 도시재생사업 대상지로 확정되면서 경기도 내 정부 도시재생사업지는 62곳으로 전국 최다를 유지하게 됐다. 특히 이번 경기 서북부 지역의 도시재생은 정부가 그동안 사업을 추진한 사례가 없는 지역이다. 이는 국내에서도 경기도 도시재생이 가지는 비중이 작지 않음을 보여준다.

영국을 포함한 국내외 취재 후 8주간 보도를 하며 지역의 가치를 재설정하고, 소셜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도시재생의 핵심이 된다는 사실을 전했다. 또 도시재생으로 얻은 수익을 도시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의 원동력이 된다는 것과 문화유산 그리고 문화가 잘 녹아든 도시가 추구하는 가치의 중심에 '사람'이 있다는 사실도 재확인할 수 있었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하향식·공급형 정부주도 도시재생의 패러다임은 기능에만 맞춰진 천편일률적 사업이라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결국 틀에 맞춰진 사업 자체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닌, 각 지역의 주민들에게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사업의 본질에 초점을 둬야 하는 이유를 영국의 여러 도시재생 사례에서 찾을 수 있었다.

런던과 에든버러 등을 돌며 취재진이 공통으로 했던 질문이 있다. '도시재생에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와 '그것이 지속 가능한가'이다. 역시나 주민들과의 소통을 통해 도시재생의 방향성을 잡아가는 과정은 성공 사례의 필수 요소이자 공통 분모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획 기사에서 다양한 사례를 소개했지만 그 과정에서 아쉽게도 크게 부각되지 못한 부분이 있었는데, 바로 지역 정치인들과의 유대관계였다.

주민들이 직접 나서 도시재생을 주도한 코인스트리트의 관계자는 도시재생의 지향점에 대해 '적시 적소에 맞는 사람들로부터 서포트를 받는 것'이라고 했다.

주민들이 원하는 것과 필요한 것을 적극적으로 수렴 하고 이를 반영하는 데에는 정치인들의 많은 도움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들에게 정치인은 자신들의 투표로 임기가 이어지는 도시의 대표자임은 물론, 주민들의 의견을 전달해야 할 사명을 가지고 있는 존재였다.

커뮤니티의 결정과 이를 존중하는 태도, 지역 정치인들과의 밀접하고도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은 도시를 성장시키는 데 주요한 요소가 됐다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었다. 어찌보면 아주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그리 쉽지 만은 않은 이야기이기도 하다. 국회의원 선거를 세 달여 앞둔 이 때, 도시와 사람과 정치의 연결고리에 대해 다시금 새겨보는 것은 어떨까.

/공지영·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2024010501000056900005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