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피해 진단센터에 접수된 의견들

"뻔히 보이는 상황 초기 대응해야"
더이상 반복않도록 조사 필요 긍정

임대인 권리침해·역량 한계 등 토로
대책위, 전수조사 촉구 회견 예고도


a1.jpg
수원역 광장에서 전세사기·깡통전세 피해자 수원화성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집회를 열고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을 촉구하고 있다. /경인일보DB

진단센터 설문에 응한 임차인들은 지자체 차원의 선제 조치를 요구하는 의견도 다양하게 표출했다. 앞서 지난해까지 집계한 결과 응답자의 92%가 현재 드러나지 않은 전세피해를 대비하기 위한 경기도 등 당국의 선제 조치에 긍정적(12월31일 인터넷판 보도=진단센터 설문응답 92% “경기도, 전세피해 선제 조치해야”)인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세부 답변 내용을 보면 한 임차인은 "현재 뻔히 (피해가) 보이는 상황이기 때문에 지금이라도 나서서 초기 대응을 실시해야 하고 다른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고 했다.

다른 임차인은 "피해 위험 현황을 미리 알고 대응해야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하고, 더 이상 피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여태 드러난 피해가 매우 크고, 임대인의 신용이나 위험성을 임차인이 인지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하기 때문"이란 의견도 있었다.

그러나 지자체들은 임대인 권리 침해와 시장 부작용 우려 등을 근거로 여전히 미온적인 입장이다. 경기지역 한 지자체 관계자는 "사전 점검 필요성에 공감을 하더라도 일부 지역이나 임대인 개인을 특정해서 조사나 실태점검을 한다는 것 자체가 개개인 재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민원 우려 등으로 선제적으로 나서기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차인 피해 최소화 방안은 항상 고민하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사전 점검 자체가 일선 지자체 차원의 역량을 벗어난다는 한계를 내비치기도 했다. 앞서 경기도는 지난해 이미 진단센터가 의뢰한 곳과 동일한 빅데이터 기업으로부터 전세사기 위험 용역 결과물을 확보해 발표한 바 있다.

다른 지자체 관계자는 "전세가율 등 세세한 피해 우려 지표 자료를 확보하는 과정부터 선별적 조치에 나서는 것까지 기초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실시하기 어렵고 부담이 큰 업무"라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대책위는 일선 지자체 차원의 전수조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예고하고 나서 임차인들의 목소리는 높아질 전망이다.

배득현 대책위 간사는 "앞으로 더 큰 피해들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권한이 있는 만큼 당장 임차인에게 지원할 수 있는 부분부터 선제적으로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수원과 화성, 고양 등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을 특정해 전수조사를 촉구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김산기자 mountain@kyeongin.com

2024011501000169400016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