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권 여당이 쏘아올린 김포시의 서울편입 특별법의 폐기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새삼 하남시의 대응이 주목받고 있다.
시는 일찍이 ‘시민의 뜻에 따르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서울편입 이슈에 대해 차분한 행정을 이어왔기 때문이다.
18일 국민의힘과 하남시 등에 따르면 국민의힘 뉴시티 프로젝트 특별위원회의 활동 시한이 지난해 12월21일 끝으로 종료되면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 회부된 김포, 구리 서울 편입 특별법 역시 자동폐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서울 편입을 추진하려면 사전 주민투표를 통해 편입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데 현재 서울 편입 타당성 검토가 마무리되지 않아 사실상 총선 60일(2월10일)전에 주민투표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주민투표법에 따르면 총선 선거일 60일 전부터 선거일 당일까지는 주민투표가 불가능하다.
앞서 국민의힘은 지난해 10월30일 김포시의 서울 편입 방안을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을 밝힌 뒤 17일 만에 김포시의 서울 편입 방안을 담은 ‘경기도와 서울특별시 간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특별법’을 발의(2023년 11월17일자 2면 보도)했다.
이후 김포시뿐만 아니라 남양주, 구리, 부천, 광명 등 인접도시에선 서울 편입 움직임이 본격화됐다.
하남시 역시 서울편입 움직임에 동참, 시민의 의견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실질적 행정절차를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왔다.
다만 시는 서울편입 등 행정구역 조정에 앞서 풀어야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취해왔다. 시는 현재 경기도와 K-스타월드 조성사업 추진을 위한 미사아일랜드 그린벨트 해제를 협의중이다.
이현재 시장은 “시정에 대해 실질적인 책임을 지는 시장으로서 시민들의 의견을 존중해 차분히 행정을 펼쳐나갈 방침”이라며“서울편입 문제 역시 시민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현안을 차질 없이 챙길 수 있도록 차분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