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이주한 원주민들 설치 요구
별도부지 없어 사실상 신설 불가
건물 소유자 비선호 현상도 팽배
市 "임차 가능 전세경로당 물색"

하남시 감일공공주택지구(이하 감일지구)에 편입되며 이주한 원주민들이 노인여가복지시설인 경로당 설치를 요구하고 나섰다.

하지만 시는 부지 부족 상황 속에서 건물 소유자의 경로당 비선호 현상까지 팽배, 쉽사리 경로당 선정을 할 수 없어 골머리를 앓고 있다.

24일 하남시에 따르면 2010년 정부의 3차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되며 현재 막바지 공사가 진행 중인 감일지구는 감일동, 감이동 일원 1천688㎢에 공동주택 1만3천886가구를 건설하는 보금자리주택사업이다.

감일지구는 택지지구 특성상 업무지구가 별도로 계획돼 있지 않다. 또한 근린생활시설도 중심상업지구 사거리 부근, 한라비발디 부근 그리고 스윗시티10단지 부근 등 3개 위치에 배치돼 있지만 주로 소규모 생활 밀착형 편의시설이 들어선 상태다.

때문에 대부분의 업무 및 상업시설들은 이주자택지가 몰려 있어 공간이 부족한 상항이다. 특히 감일지구는 하남지역 미사·위례 등의 신도시와는 달리 이주자택지가 대규모로 조성돼 있다.

감일지구는 46·47통 등 2개통에 이주자택지가 몰려있다. 이주자택지 내 인구수만 1천127명에 달한다.

하지만 이주자택지 내에 경로당이 없다보니 주민들은 경로당 신설을 요구하고 있다. 이주자택지 내 전체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은 124명이다.

이에 따라 시는 주민들의 요구가 제기된 지난해부터 이주자택지 내에 경로당 신설을 추진했지만 별도 부지가 없어 사실상 신설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시는 대안으로 1개통에 1개소의 경로당 전세 임차보증금을 지원하는 '경로당 전세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건물 소유자의 경로당 임대 비선호 현상으로 전세 경로당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 관계자는 "이주자택지 내 주민들의 경로당 신설 요구가 제기되면서 시 차원에서 경로당 설치를 추진하고 있지만 건물 소유자들이 경로당 임대를 선호하지 않다보니 경로당 선정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다만 시는 주민협조 등을 통해 꾸준히 임차가능 전세경로당을 알아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남/김종찬기자 chan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