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사는 이야기] 의왕시 사회적협동조합 '비지땀' 표도영 이사장
운영비 제외 금액, 사회공헌에 지출
괴산군서 수해복구작업 재능기부도
보호시설 퇴소 청년 자립돕기 구상

"저의 미니 굴착기로 수해 또는 건물 붕괴 현장에 군인, 소방인력 100명분의 일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2015년부터 의왕지역을 중심으로 한 위탁사업형 청소대행업체를 운영하면서 비영리법인인 사회적협동조합을 이끌고 있는 표도영 비지땀 이사장은 29일 "우리 조직은 봉사단체가 분명히 아닌데, 많은 분들이 오해하고 있는 만큼 청소대행업체마저 포기한 곳에 투입돼 비지땀을 흘리고 있다"고 운을 뗐다.
표 이사장이 지휘하는 비지땀은 조합에 고용된 직원조합원 11명과 자원봉사자 5명 등 총 19명이 지역 내 의류수거함 등에서 나온 생활폐기물을 처리하며 발생한 이윤으로 운영되고 있다.
2016년 당시 김성제 의왕시장은 지역 내 무분별하게 설치된 폐의류수거함을 모두 철거한 뒤 폐의류수거함으로 거둬들인 수익금 5% 이상을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조건으로 위탁관리업체 공모를 통해 비지땀을 선정했다.
표 이사장은 "공모조건을 넘어 우리는 인건비와 운영비를 제외한 모든 금액을 지역 내 사회공헌사업에 지출하고 있으며, 의왕시의 보조금·지원금을 받지 않는 '희망나눔버스' 운영을 비지땀의 대표적인 사회공헌활동으로 꼽을 수 있다"고 밝혔다.
비지땀의 희망나눔버스는 시민사회단체, 마을공동체 등에서 야외활동을 위한 유류비와 도로비만 부담할 경우 34인승 리무진 버스를 무상으로 운행해 주며, 월 평균 10차례 상당의 지원에 나선다. 여기에 2021년부터 저소득층 및 위기가정, 독거노인에 대한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굿모닝 홈클린 사업'도 연평균 5차례가량 진행하고 있다.
특히 표 이사장은 2022년 8월 의왕지역 수해현장과 지난해 7월 충북 괴산군 일대 수해현장에 자신의 소형 굴착기를 이끌고 복구작업에 나서기도 했다.
그는 "지난해에는 시와 자매결연을 맺은 괴산군의 수해 피해로 재능기부 차원의 봉사활동에 착수하게 됐다. 이로 인해 괴산군에서 공로패를 받았다"고 소개했다.
이 같은 활동 속에서도 표 이사장은 보호시설 퇴소자를 위한 희망만들기 프로젝트 추진을 구상하고 있다.
표 이사장은 "보육원 등 보호시설을 퇴소한 청년들의 자립을 돕기 위해 2년간 한정 고용 방식으로 근무 후 방수기능사·온수온돌기능사·건설기계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 등을 통해 7천만원 상당의 자립자금을 만들어 주는 계획을 모색 중"이라며 "힘이 닿을 때까지 비지땀을 운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왕/송수은기자 sueun2@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