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당성조사 등 행정절차 본격 돌입
총사업비 9237억… 부지 9만9천㎡
내년말 착공… 바이오헬스산업 견인


005.jpg
성남시가 타당성조사 등의 행정 절차에 본격 돌입한 '바이오헬스 클러스터' 조성 부지인 분당 정자동 소재 옛 주택전시관 전경. /경인일보DB

성남시가 분당 정자동 옛 주택전시관 일대 시유지(9만9천㎡)에 9천여억원을 투입해 조성하는 '바이오헬스 클러스터'(2023년 1월19일자 9면 보도=분당 노른자위 옛 주택전시관 일대 '바이오헬스 클러스터' 탈바꿈)와 관련 행정 절차에 본격 돌입하는 등 속도를 내고 있다.

6일 성남시에 따르면 지방재정법에 따라 총 사업비 500억원 이상인 신규 사업에 대해서는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의 타당성조사와 행정안전부의 지방재정투자심사를 받아야 한다. 이와 관련 시는 지난달 29일 타당성조사를 신청했고 오는 9월에는 지방재정투자심사를 받는다는 계획을 확정했다.

당초 시는 지난해 3월 '성남 바이오헬스 첨단 클러스터 도시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에 관한 내용을 고시하면서 오는 2028년 완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서 사업 내용에 대한 다른 의견이 제시되면서 행정절차가 지체됐다.

이번에 타당성조사를 신청하면서 완공 예정일이 오는 2029년 6월로 늦춰졌지만 사업은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는 분당신도시 조성 당시 주택전시관으로 쓰이다 시가 2015년 12월 되돌려 받은 부지와 그 일대 시유지(총 9만9천98㎡)에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및 도시 경쟁력 확보'를 목적으로 조성된다. 성남도시개발공사가 주도하는 공공개발로 진행되며 총사업비 9천237억원은 전체 부지 중 20%가량을 바이오헬스 관련이라는 조건으로 민간에 매각해 조달한다

시는 클러스터에 바이오헬스분야의 선도기업, 병원·대학·기관의 연구개발(R&D)센터, 강소·중견·중소·벤처·창업기업을 유치할 계획이다. 또 기업 지원시설(연면적 약 3만㎡)도 설치해 바이오헬스 관련 제품 개발에 필요한 검증·평가, 훈련, 임상시험(CRO), 인허가·인증 등 모든 과정을 지원하고 헬스케어 제품 전시·체험관, 시민참여 리빙 랩이 등이 들어서는 시민커뮤니티 공간(연면적 약 1만6천500㎡)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타당성조사와 지방재정투자심사에 별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고 실시계획 인가 등을 거쳐 오는 2025년 12월께는 착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민선 8기 공약인 4차 산업 특별도시 조성과 연계해 대한민국의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전진 기지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성남/김순기기자 ksg2011@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