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명시가 사업 방향에 대한 주민 간 이견으로 난항을 겪고 있는 새터마을 정비사업 추진 해법을 찾기 위한 주민대토론회를 개최한다.
시는 오는 26일 오후 4시 시청 대회의실에서 새터마을 주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새터마을 정비사업 관련 주민 대토론회’를 연다고 19일 밝혔다.
원도심인 광명7동 일원 새터마을은 2007년 뉴타운으로 지정됐다가 주민 반대로 2014년 해제되고, 2021년 공공재개발 후보지에서 탈락한 이후 같은 해 12월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이에 따라 국비 120억원을 포함해 사업비 219억원이 편성되면서 가로주택정비사업 및 도시재생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으나 새롭게 공공재개발 정비사업 등 개발 여론이 대두됨에 따라 다양한 주민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현재 주민들은 소규모 도시재생 방식인 가로주택정비사업을 희망하는 입장과 전면재개발 방식인 대규모 공공재개발을 추진하자는 입장, 개발사업에 반대하는 입장 등 여러 의견으로 나뉘어 있는 상태다.
이러한 갈등을 해소하고자 박승원 시장은 지난해 4월 토론회를 시작으로 2023년 8월 새터마을 주민 전체를 대상으로 대토론회를 개최한 바 있으며 새터마을 주민대표로 구성된 소통회를 4회 진행했다.
시는 이번 대토론회를 통해 현재 추진 중인 각 개별사업 진행 현황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공유하는 등 새터마을 주민들의 지속적인 갈등과 해결점을 찾을 예정이다.
또한 시민들이 정비사업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습득하고, 관련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이번 토론회에 정비사업 전문 변호사, 감정평가사, 한국부동산원 등 정비사업 분야별 전문가를 참석시킨다.
김남숙 도시재생과장은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주민 갈등이 해소되고, 주민들의 합의된 의견에 따라 사업이 원활히 추진되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주민 갈등 해소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