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남 감일신도시 ‘동서울변전소 옥내화’를 놓고 추진되는 특별지원사업이 지역의 분란거리가 될 조짐이다.
20일 한국전력공사와 감일지구총연합회 등에 따르면 한전은 지난해 10월 하남시와 ‘500㎸ 동해안~동서울 HVDC(고전압 직류송전) 건설사업’과 관련한 상호 이해증진 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송·변전설비 건설 주변지역에 대한 특별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별지원사업은 주민생활안정지원사업, 주민복지사업, 소득증대사업 등이 대상이다.
이에 따라 감일신도시 주민들은 이달 중 가칭 ‘상생협의체’를 구성해 한전과 특별지원사업과 관련한 교섭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특별지원사업 지원 대상을 놓고 신도시 주민들간 이견이 생기면서 사업 추진에 난항이 우려되고 있다.
현재 감일신도시 총 19개 단지 가운데 12개 단지가 동서울변전소와 연결되는 송전선로 700m 이내 지역에 포함돼 ‘송·변전설비 주변지역의 보상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송주법)’에 따른 전기요금 할인 등의 지원을 받고 있는데, 동서울변전소 옥내화가 추진되면 송전선로가 지중화돼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때문에 기존 송주법 적용 단지들은 기존 혜택이 사라지는 점을 고려, 특별지원사업 혜택을 12개 단지로 한정하길 원하고 있다.
반면 나머지 단지들은 송·변전설비 건설로 인한 주민 불편 등을 고려, 신도시 전체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주민편의시설 설치 등 특별지원사업 혜택이 전체로 확대되길 바라고 있다.
감일지구총연합회 관계자는“특별지원사업과 관련해 단지별 의견이 달라 연합회는 조만간 구성되는 상생협의체에 빠지는 한편, 권한도 모두 위임하기로 했다”며 “추후 결정되는 지원사업의 종류 및 지원 대상이 주민들을 갈라치기 하는 분란거리가 되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동서울변전소 옥내화 및 HVDC 변환소 증설’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2017년 발표한 ‘제8차 전력 수급 기본계획’의 일환인 동해안~수도권 HVDC 건설사업에 따라 총 2단계(1단계 변전소 옥내화, 2단계 HVDC 변환소 증설)로 나눠 추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