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미 의원
하남시의회 박선미 의원이 23일 제327회 하남시의회 임시회 제5차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하남시는 한전과 동서울변전소 옥내화 및 증설계획을 사전 주민설명회 없이 깜깜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지적하고 있다./하남시의회 제공

하남 감일신도시 ‘동서울변전소 옥내화’를 놓고 추진되는 특별지원사업이 지역의 분란거리(2월 22일 8면=동서울변전소 보상 ‘감일’만… 뿔난 감북 주민)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하남시의회가 깜깜이로 맺은 하남시와 한국전력의 옥내화 관련 업무협약을 공개 질타하고 나섰다.

하남시의회 박선미 의원은 23일 열린 제327회 하남시의회 임시회 제5차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하남시는 한전과 동서울변전소 옥내화 및 증설계획을 사전 주민설명회 없이 깜깜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지적했다.

앞서 시는 지난해 10월 24일 한국전력공사가 ‘동해안~동서울 초고압선 직류송전(HVDC) 건설사업 상호이해증진 협력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시는 국가정책 사업인 동해안의 대규모 발전력(17.9GW)의 수도권 전송을 위한 옥내화 포함 계통연계 사업 추진에 협력하기로 했고, 한전은 특별지원사업비를 활용, 시가 요구한 주민들을 위한 실내 체육시설을 건설하기로 했다.

하지만 현재 실내 체육시설은 개발제한구역 및 ‘송·변전설비 주변지역의 보상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거리 제한에 따라 건립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에 시와 한전은 주민들이 구성한 가칭 상생협의회에서 요구하는 특별지원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이를 놓고 현재 감일신도시 주민들은 물론 협의체 구성에서 배제된 감북동 주민들이 집단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박선미 의원은 주민들의 분란의 원인이 시에 있다고 보고 사전 설명회 없이 한전과의 업무협약서에 사인한 점에 대한 시의 사과와 함께 동서울변전소 주변 주민들이 모두 참여하는 상생협의체 구성을 요구했다.

박 의원은 “이미 하남시는 업무 협약서에 사인을 했다. 사전 주민설명회도 없었고, 사후 업무보고도 없었다”며“이제라도 구체적 증설계획을 주민들에게 설명하고 사과하며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감북6통 주민들, 감일지구 주민들과 함께 대책 마련을 위한 상생협의체 구성에 나서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덧붙여 그는 “시는 추후 한전이 주민들과 약속한 특별지원사업이 확실히 이행되는 것을 확인한 후 증설사업과 관련한 행위허가를 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