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위, 사전 서면합의 등 촉구 집회
가학동 등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광명·시흥 3기 신도시의 지장물 조사에 착수한 가운데 원주민들이 다른 3기 신도시와 동일한 간접보상을 요구하면서 지장물 조사를 거부키로 해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

광명·시흥 3기 신도시 대책위원회는 28일 중림사거리 광장에서 '지장물 조사 전 서면합의'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에 참석한 500여 명의 대책위 주민들은 2024년 상반기 보상계획 공고 및 열람, 2024년 후반기 감정평가보상액 통보·수용재결 등 지구지정 때 발표한 보상 일정 준수를 촉구했다.

보상지연에 따른 어려움을 호소한 이들은 ▲보상일정 준수 ▲수용토지에 대한 정당한 보상 ▲서면합의 없는 지장물조사 거부 ▲지구지정 철회 요청 등 4개항으로 된 주민성명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대책위는 광명·시흥 3기 신도시의 정당한 보상을 위해 실거래가 기준 39조3천억원 이상 총사업비 책정을 강력히 요청하면서 이축권 미공급, 양도세 미감면, 1회 전매금지, 협택·철거민 1년 소급 미적용 등 다른 3기 신도시와 차별되는 간접보상 규정의 전면 수정을 요구했다.

주민대책위에 따르면 광명·시흥 3기 신도시는 2010년 보금자리 지정, 2015년 특별관리지역 지정 등으로 10년 넘게 재산권 행사를 제한받아 왔으며 2021년 2월 3기 신도시 공람공고 후 LH 부동산 투기사태로 인한 후속 입법조치로 인해 다른 3기 신도시들에 제공되는 기업이전대책 등 간접보상이 제외되는 등 역차별을 받고 있다.

대책위 관계자는 "시행자인 LH는 예산부족, LH 투기사건 등 문제들을 파렴치하게 13년간 피해를 당하고 있는 주민들에만 전가하며 뒷전에 앉아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며 "더구나 LH에 지장물 조사 전 합리적인 대책에 대한 서면합의를 무수히 요구했으나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한편 광명시는 이날 광명동·가학동·노온사동·옥길동 일대 19.23㎢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재지정했다. 지정기간은 내달 2일부터 2027년 3월1일까지 3년이다.

광명/문성호기자 moon2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