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70회 대한체육회 체육상 시상식서 수상 영예
비인기 종목 육성, 남북 화합 앞장선 공로 인정
장충식 학교법인 단국대학 명예이사장(사진)이 대한민국 스포츠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9일 ‘제70회 대한체육회 체육상’ 특별공로상을 수상했다.
대한체육회는 이날 서울 올림픽파크텔 1층 올림피아홀에서 시상식을 열고 “장충식 명예이사장이 평생을 실천한 스포츠에 대한 사랑과 헌신을 높이 평가한다”며 “1988년 서울올림픽 유치에 기여하고 스포츠로 남북 단일팀을 구성해 남북 스포츠 화합에 기여하는 등 스포츠를 통한 인류애 실천 공로를 인정, 특별공로상 수상자로 선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장 명예이사장은 비인기 빙상 종목으로 알려진 스키부(1968년)와 빙상부(1976년)를 단국대에 일찌감치 창단해 동계스포츠의 불모지였던 대한민국이 빙상종목 강국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했다. 또한 각종 대학스포츠 단체장과 대학스포츠위원회(KUSB)위원장을 역임하며 인재 육성을 위해 노력해 왔다.
무엇보다 장 명예이사장은 스포츠를 통해 남북 간 민족 화합에 앞장섰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1989년 베이징아시안게임 남북 단일팀 구성을 위한 남북체육회담에 대한민국 수석대표로 참석해 남북 단일팀 명칭, 선수단기, 선수단가 등의 합의를 이끌어 냈다. 1991년에는 탁구와 청소년 축구에서 사상 최초로 남북 단일팀 구성을 성사시키며 흰색 바탕 하늘색 ‘한반도기’를 들고 전 세계에 한민족의 동질성과 정체성을 알리기도 했다.
대학스포츠 발전에 관심이 높았던 장 명예이사장은 세계유니버시아드대회 선수단장을 연속 4차례 역임했다. 단국대는 현재 스키와 빙상뿐 아니라 럭비, 조정, 씨름 등의 비인기 종목을 집중 육성하고 있으며, 비인기종목 체육팀이 20개에 달해 국내 대학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박태환(수영), 손태진(태권도), 김현우(레슬링), 김기훈·진선유·이정수·이호응(쇼트트랙), 오승환(야구) 등 수많은 스포츠 스타와 지도자를 배출했다.장충식 학교법인 단국대학 명예이사장이 대한민국 스포츠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9일 ‘제70회 대한체육회 체육상’ 특별공로상을 수상했다.
대한체육회는 이날 서울 올림픽파크텔 1층 올림피아홀에서 시상식을 열고 “장충식 명예이사장이 평생을 실천한 스포츠에 대한 사랑과 헌신을 높이 평가한다”며 “1988년 서울올림픽 유치에 기여하고 스포츠로 남북 단일팀을 구성해 남북 스포츠 화합에 기여하는 등 스포츠를 통한 인류애 실천 공로를 인정, 특별공로상 수상자로 선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장 명예이사장은 비인기 빙상 종목으로 알려진 스키부(1968년)와 빙상부(1976년)를 단국대에 일찌감치 창단해 동계스포츠의 불모지였던 대한민국이 빙상종목 강국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했다. 또한 각종 대학스포츠 단체장과 대학스포츠위원회(KUSB)위원장을 역임하며 인재 육성을 위해 노력해 왔다.
무엇보다 장 명예이사장은 스포츠를 통해 남북 간 민족 화합에 앞장섰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1989년 베이징아시안게임 남북 단일팀 구성을 위한 남북체육회담에 대한민국 수석대표로 참석해 남북 단일팀 명칭, 선수단기, 선수단가 등의 합의를 이끌어 냈다. 1991년에는 탁구와 청소년 축구에서 사상 최초로 남북 단일팀 구성을 성사시키며 흰색 바탕 하늘색 ‘한반도기’를 들고 전 세계에 한민족의 동질성과 정체성을 알리기도 했다.
대학스포츠 발전에 관심이 높았던 장 명예이사장은 세계유니버시아드대회 선수단장을 연속 4차례 역임했다. 단국대는 현재 스키와 빙상뿐 아니라 럭비, 조정, 씨름 등의 비인기 종목을 집중 육성하고 있으며, 비인기종목 체육팀이 20개에 달해 국내 대학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박태환(수영), 손태진(태권도), 김현우(레슬링), 김기훈·진선유·이정수·이호응(쇼트트랙), 오승환(야구) 등 수많은 스포츠 스타와 지도자를 배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