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은채 광주시의원이 5일 개회한 제307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광주시 호국보훈공원’ 명칭 변경(2월29일자 9면 보도)과 관련, 절차상의 문제 지적 및 공원 명칭 변경의 재검토를 요청했다.
앞서 시는 지난 1월15일 ‘경안근린공원 명칭 시민공모 공고’를 진행해 1월19일까지 5일간 접수를 진행하고, 2월 말 공모에 접수된 공원 명칭을 안건으로 시 지명위원회를 개최해 ‘경안근린공원’의 명칭을 ‘광주시 호국보훈공원’으로 변경하는 것을 가결, 명칭 변경에 따른 행정절차를 계획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이날 “공모 기간이 단 5일간으로 비교적 짧아 시민들의 공모 참여도 총 13건 정도로 많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과의 간담회 등과 같은 별다른 공론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로 서면으로 지명위원회를 개최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시민들의 역사문화향유권 제공과 미래 세대에게 역사적 교훈과 정체성을 강화하려는 공원의 조성 취지는 동의하지만, 경안동 전체를 관리하는 경안동장에게 조차 알리지 않고 진행된 지명위원회 서면심의 결과를 철회하고 주민 공청회·간담회 등 최소한의 공론화 과정을 거쳐 시민의 쉼터인 경안근린공원 명칭 변경을 추진해달라”고 방세환 시장에게 요청했다.
한편 ‘광주시 호국보훈공원’ 명칭 변경을 추진했던 광복회 경기도지부 광주지회 이강세 지회장은 5일 경인일보와의 통화에서 광복회의 입장을 밝혔다.
이 회장은 “10여년전부터 광복회원들과 함께 국내 항일유적지나 역사유적지 탐방을 통해 전국의 호국보훈 관련 시설물을 방문해 보았다. 많은 곳의 호국보훈 시설들이 한 곳에 집중 설치돼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회장은 “광주시 경안근린공원에는 현충탑, 3·1운동기념탑, 호국유공자공적비가 있어 현충일 행사를 비롯해 순국선열의 날 행사 및 신년이나 특정 시기에 참배 행사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며 “반면 항일운동 기념탑은 남한산성면 산성리에 설립 당시 역사성을 가지고 건립됐으나 일반 시민과 보훈단체가 관람과 참배 행사를 위해 원거리를 이동해야 하고 시설물 관리 또한 효율적이지 못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3곳의 호국보훈 관련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는 경안근린공원은 일반적인 행정용어를 사용한 명칭이기 때문에 시민들에게 호국보훈과 관련된 의미 있는 공간이라는 인식을 주기 어려움이 있다”며 “꼭 세방살이 사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이에 광복회는 산성리에 있는 항일운동 기념탑을 경안근린공원으로 이전하고 공원 명칭을 ‘호국보훈공원’으로 개칭해 자손만대 길이 보전될 신성한 공간으로 변경해 줄 것을 지난해 11월부터 시에 구두로 제안하다가 올해 초 시에 정식 제안을 했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경안근린공원 명칭을 ‘광주시 호국보훈공원’으로 변경하기로 하고 지난달 27일 지명위원회를 개최해 심의 의결한 바 있다. 시는 현충시설들을 한 곳으로 모아 광주시 호국보훈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