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5일 1차 정례회때 다뤄질 예정
4·10재선거로 재적의원 11명 늘어
의결정족 1명 증가… 가결 미지수

직장 내 괴롭힘 등의 문제가 제기되는 등 논란을 빚으며 '폐지' 수순을 밟던 광명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3월14일자 9면 보도=예산 소진때까지 혁신안 미제출… 광명지속가능발전협의회, 폐지 수순, 이하 협의회)에 대해 광명시가 폐지조례안에 대해 재의를 요구키로 하면서 광명시와 광명시의회간 힘겨루기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난 4일 제1차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정기회의에서 참석한 박승원 시장은 "광명시는 그동안 지속가능발전협의회를 중심으로 시민사회와의 적극적인 연대와 협력, 논의와 토론을 통해 의제를 발굴하고 실천해 왔다"면서 "의회와 적극 소통해 지속협 지원조례를 되살려 시민사회의 참여를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시도 다음날인 5일 시의회에 '광명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운영 및 지원 조례 폐지조례안(이하 폐지조례안)'에 대해 재의를 요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재의 요구는 오는 6월5일부터 열리는 제284회 제1차 정례회에 다뤄질 예정이며 재의요구에 대해 재적의원 과반 출석과 출석의원 3분의 2 찬성으로 조례로 확정된다.

시의원 7명이 폐지조례안에 대해 찬성 입장인데 4·10 재선거(라선거구)로 6월 정례회의 재적의원이 11명으로 증가하고 의결 정족수도 7명에서 8명으로 늘어나게 돼 폐지조례안 가결 여부는 미지수다.

6월 정례회에서 폐지 조례안이 부결되더라도 협의회의 정상 운영은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다. 지난해 말 시의회가 '3개월 동안 혁신안을 마련한다'는 조건으로 협의회의 3개월치 운영비 등에 해당하는 본예산만 편성하면서 이달부터 협의회의 운영비 등이 바닥난 상태다.

협의회 예산을 2차 추가경정예산안에 포함시켜야 하지만 시의원 과반수가 협의회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인 만큼 2차 추경에 반영하기가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재의 요구와 별도로 그동안 협의회를 통해 추진했던 사업이 중단돼 시민사회 참여가 위축되지 않도록 광명시 지속가능발전팀, 기후에너지센터, 환경교육센터 등을 통한 시행방안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광명/문성호기자 moon2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