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택환경위원회 등 평택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정부에 송탄상수원보호구역 해제(4월5일자 7면 보도)에 앞서 평택호·진위천의 수질개선 위한 실질적 대책과 예산 확보 방안 마련 등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16일 성명서를 통해 “평택시와 정부간 상수원보호구역 관련 협약식이 17일 추진된다는 소식”이라며 “협약에는 시가 송탄상수원보호구역 해제에 협조하고 정부와 관계기관 등은 평택호를 중점관리저수지로 지정해 수질 3급수 확보를 위해 노력하며 산업단지 약 132만㎡ 추가배정과 15만t 생활용수 추가공급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에 “평택시는 송탄상수원보호구역 존치를 계속 주장할 경우 아무것도 얻지못하고 상수원보호구역만 해제돼 불가피하다는 주장이지만 정부와 협약을 체결해도 평택호 수질 3급수 확보를 위한 예산투입 등의 계획없이는 단지 선언에 그친다는 것이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시민들은 향후 송탄상수원보호구역을 잃고 진위천 상류지역에 산단과 아파트 등의 개발로 차천오염이 심화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그럼에도 이를 해소할 구체적 대책없이 협약이 체결되면 시와 시민들 삶의 질을 더욱 떨어뜨릴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평택시민들은 이미 포승국가산단과 고덕산단, 브레인시티산단 등 20여 개 산단에서 배출하는 폐수와 대기오염물질로 건강을 위협받고 있어 추가로 산단 개발을 원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이들은 “앞으로 평택시에 필요한 것은 산단 추가 개발이 아니라 쾌적한 환경이며 정장선 시장은 시민들이 살고 싶은 생활환경을 위해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 밖에 “삼성전자의 투자 속도조절로 중단된 평택캠퍼스 P5, P6공장 준공이 우선으로 정부는 송탄상수원보호구역을 유지하고 반도체 국가산단을 개발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더 이상 평택시민들의 희생을 일방적으로 강요하지 말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