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GTX역 연계 도입 주장
동탄·수원 등 구성역 노선 연결
환승 대기·도보 시간 원인 추정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A노선의 평일 기준 이용이 예상보다 다소 저조한 것(4월5일자 9면 보도="광역버스 직행 더 효율적" GTX-A 초반이용 저조)과 관련해 GTX와 연계된 무정차 셔틀버스가 도입돼야 한다는 주장이 경기도의회에서 나왔다.
이병숙(민·수원12), 이채명(민·안양6) 경기도의회 의원 등은 이 같은 상황에 대해 "GTX-A 수요 저조는 낮은 접근성에 있다"고 분석하며 "이를 타개하려면 'GTX 연계 무정차 셔틀버스'로 GTX-A 역을 최단 시간에 연결해야 한다"고 17일 주장했다.
그러면서 6월 구성역 개통과 연계해 GTX-A 연계 무정차 셔틀버스로 동탄신도시~구성역, 수원역~구성역, 수원역~동탄신도시~동탄역 노선 운행을 제안했다.
GTX 연계 무정차 셔틀버스는 2017년 개통한 KTX 광명역 셔틀버스 8507번(광명 소하동·광명역~강남순환고속도로~사당역)에서 착안했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GTX-A 수서~동탄 구간이 지난달 30일 개통한 뒤 지난 14일까지 이용자 수는 평일 평균 7천898명, 휴일 평균 1만1천338명으로 집계됐다.
국토부는 당초 이 구간의 평일 수요를 2만1천523명, 주말 수요를 1만6천788명으로 예측했다. 개통 이후 보름여간 평일 이용은 예상의 36.7%, 휴일 이용은 67.5%에 그친 것이다.
특히 평일 이용객이 저조한 것은 삼성역까지 연결되지 않은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GTX-A를 이용해 강남권으로 출퇴근하는 화성 동탄신도시 주민들은 통상 강남, 역삼, 선릉 등 지하철 2호선 이용을 선호하지만, 현재는 수서역에서 갈아타야 하기 때문이다.
이병숙·이채명 의원은 "GTX-A 개통으로 동탄역~삼성역 소요 시간(22분)보다 거주지, 직장에서 GTX 역사까지 이동에 걸리는 시간, 환승 대기 및 도보 시간이 더 길어 광역버스보다 높은 요금으로 이용할 이유가 낮다"며 "GTX-C의 수원역 등 향후 개통 예정 노선 개통일에 맞춰 GTX 연계 무정차 셔틀버스를 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
GTX-A 이용 저조에 '무정차 셔틀버스' 제안
입력 2024-04-17 19:27
수정 2024-12-11 19:05
지면 아이콘
지면
ⓘ
2024-04-18 5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광역버스 직행 더 효율적" GTX-A 초반이용 저조
2024-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