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타 통과 요청' 공동건의문 서명
내달 기재부 전달… 강력 의지 표명
서울간 이동 등 교통복지 개선 기대

001.jpg
신상진(오른쪽) 성남시장과 방세환 시장은 1일 성남시청 상황실에서 '위례삼동선 건설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요청을 위한 공동건의문' 서명식을 가졌다. 2024.5.1 성남/김순기기자 ksg2011@kyeongin.com

신상진 성남시장과 방세환 광주시장이 1일 예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인 '위례~삼동선'과 관련 "반드시 건설돼야 한다"고 정부에 호소하고 나섰다.

신상진·방세환 시장은 이날 오후 성남시청 상황실에서 '위례삼동선 건설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요청을 위한 공동건의문' 서명식을 가졌다. 양 시장은 다음달 중 기획재정부에 공동건의문을 전달할 예정이다.

경계를 맞대고 있는 성남·광주시는 교통 문제로 홍역을 앓고 있다. 광주에서 서울로 가거나 성남으로 출퇴근하는 주민들이 많아지면서 두 도시를 잇는 도로들이 정체현상을 빛은 지 오래다.

성남·광주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빈약한 철도건설을 공동으로 추진해 왔다. '위례~삼동선'과 '지하철 8호선 판교연장 판교 오포선' 등이 대표적이다.

이 중 판교 오포선은 지난 3월 경기도가 발표한 '제2차 경기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에 포함돼 첫걸음을 뗀 상태다.

반면 위례~삼동선은 지난 1월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에 선정돼 지난 2월부터 1년 예정의 예타조사가 진행 중이다. 성남·광주시는 앞서 용역비(3억원)를 공동 부담해 1년여 간 '현행화 용역'을 진행한 바 있다. 신상진·방세환 시장이 공동건의문까지 채택해가며 위례~삼동선을 호소하고 나선 배경이다.

위례~삼동선은 위례 신사선의 위례 종점인 위례중앙역에서 성남 원도심과 성남하이테크밸리를 거쳐 광주 경강선 삼동역까지 10.6㎞를 연장하는 광역철도다. 성남 구간은 8.7㎞, 광주 구간은 1.9㎞이며 총사업비는 8천845억원 규모로 이 중 70%는 국비로 충당된다.

성남·광주시는 위례~삼동선이 건설되면 도로 정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성남 원도심(수정구·중원구)과 광주시 및 서울시 간 이동이 훨씬 편리해지는 등 지역 교통복지가 한층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상진·방세환 시장은 이날 "140만 성남·광주 시민들의 교통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위례삼동선은 꼭 건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기획재정부·한국개발연구원에서 진행 중인 예비타당성조사를 반드시 통과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해달라"고 요청했다.

/김순기·이종우기자 ksg2011@kyeongin.com